마약성 진통제의 부작용
● 변비
예방적으로 변비 완화제 (예: MgO)를 처방받아 투여할 수 있습니다.
● 진정 졸림 구토 구역
약물치료 초기나 약용 량을 늘릴 때 발생되는 증상으로 약물이 몸에 적응하는 시간인 1~2주의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은 사라집니다. 그러나 증상이 심하면 항구토제 등을 처방받아 투여 할 수 있습니다.
● 호흡억제
주사제 투여 시 발생확률이 높은 부작용으로 먹는 약 투여 시에는 드물게 발생합니다. 하지만 한번 발생하면 위험한 부작용으로 호흡수가 1분에 10회 이하로 내려간 경우 약물투여를 중지하고 가까운 응급실을 방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마약성 진통제 복용 시 주의사항
1. 약은 항상 시간에 맞춰서 규칙적으로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진통제를 규칙적으로 복용하는 중간에 갑자기 통증이 심해질 경우에는 미리 처방 받은 속효성 약을 즉시 복용합니다.
3. 통증이 없다고 해서 의료진과 상의 없이 약을 중단하지 않습니다. 약을 갑자기 끊으시면 금단 증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4. 복용을 잊었을 경우에는 생각났을 때 바로 정해진 분량만큼 복용합니다.
5. 의료진의 지시가 없는 한 다른 진통제, 수면제, 진정제, 항우울제 등의 약을 복용하지 않습니다.
6. 임의대로 약의 용량을 늘리거나 줄이시면 위험합니다.
* 서울대학교 암센터 자료에서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 > 크리에이터 정관진 저작권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물 안 개구리 (0) | 2020.04.03 |
---|---|
진통제에 대한 잘못된 생각들 (0) | 2020.03.26 |
암 환우, 오심. 구토 방지를 위한 생활속 실천법 (0) | 2020.03.16 |
이완반응을 배우자 (0) | 2020.03.11 |
보호자 역할 제대로 하기 (0) | 2020.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