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류별 암/갑상선암

갑상선암 수술 줄면서...부갑상선기능저하증 발생률 감소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0. 1. 16.

갑상선을 형상화한 나비 모습

갑상선암 수술이 줄면서 합병증도 줄었다./사진=헬스조선 DB

국내 갑상선암 수술이 줄면서 수술 후 합병증인 부갑상선기능저하증도 함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갑상선기능저하증이란 부갑상선에서 분비되는 부갑상선호르몬(PTH)의 분비나 작용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부갑상선호르몬은 인체 내에서 칼슘과 인이 늘 일정한 농도로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상이 발생하면 저칼슘혈증과 고인산혈증이 나타나 이상감각, 극도의 피로감, 우울, 불안 등 많은 불편한 증상을 일으킨다.

가천대 길병원 이시훈(내분비내과)·이준협(갑상선클리닉) 교수와 이화여대 융합보건학과 안성복 교수 공동 연구팀은 전국민을 대상으로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갑상선암 발생률, 갑상선암 수술 건수 및 수술의 종류, 수술 후 부갑상선기능저하증의 발생률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2000년대 이후 갑상선암은 발생률 증가 속도가 1위인 암이었으며, 이는 우리 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공통적인 현상이었다. 특히 2012년 국가별 갑상선암 발생률을 비교해 보면 우리 나라는 미국에 비해 남자의 경우 4배, 여자의 경우 5배 정도 높은 갑상선암 발생률을 보였다. 이는 높은 검진률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2년 이후 이러한 상황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암 검진 시 갑상선 초음파 검사를 보다 선별적으로 시행하고, 갑상선 세침흡인 세포검사의 기준을 직경 1cm 이상 되는 의심스러운 결절로 완화한 새로운 진료지침의 제정 및 시행이 이뤄졌다.

연구 결과, 지속적으로 증가하던 갑상선암의 발생과 수술 건수는 2012년을 정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했고, 이와 동시에 수술 후 부갑상선기능저하증의 발생률도 줄어들었다.

실제 각 군별 10만명당 발생률을 살펴보면, 갑상선암 발생률은 2007년 38.3명이었던 것이 2012년 약 73명에서 정점을 찍었다가 2016년 44.1명으로 감소했다. 또 부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는 2007년 2.6명에서 2012년 약 7명으로 정점을 찍었다가 2016년 3.3명으로 감소했다.

이에 따라서 갑상선 절제술을 받은 인구 비율도 2007년 34.8명에서 2012년 약 70명 정도로 정점을 찍고, 2016년 22.2명으로 감소했다. 즉, 갑상선암 발생률이 감소하면서, 갑상선 절제술을 받는 인구도 줄고, 그에 따라서 부갑상선기능저하증환자들도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갑상선 부분절제술의 증가 등 갑상선암 수술 패턴의 변화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운영하는 국민건강정보공유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전국민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최근 저명 의학 학술지인 ‘미국 의학협회지(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최근호에 게재됐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1/15/2020011500896.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