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헬스코리아뉴스](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health.chosun.com%2Ffileupload%2Fhealthcare_news%2Fhkn24_201912%2F20191227074151_308800_165208_5348.jpg)
[헬스코리아뉴스 / 서정필] 근무시간이 긴 노동자 일수록 고혈압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캐나다에서 나왔다. 캐나다 라발대학 예방의학연구팀은 퀘벡 소재 3개 공기업에서 근무하는 사무직 노동자 3547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근무시간과 혈압과의 관계를 추적했다. 노동자들은 1년차, 3년차, 5년차에 한 번씩 몸에 차는 혈압 측정기를 통해 혈압을 측정했다. 측정기는 아침마다 최소한 세 번 안정시 혈압을, 일상생활 속에서는 15분을 주기로 운동 시 혈압을 측정했다. 연구진은 안정시 고혈압은 140/90mm/Hg 이상을, 운동시에는 135/85 mm/Hg 이상 기준을 사용하고 안정시와 운동시 모두 고혈압일 경우 ‘지속성 고혈압’으로, 안정시에는 고혈압이 아니지만 운동시에는 고혈압으로 판정될 경우 ‘가면 고혈압’으로 판단했다. ‘가면 고혈압’이란 집에서 측정하였을 때에는 고혈압으로 인지되지만 병원 진료 시에는 발견되지 않는 고혈압을 일컫는다. 첫 검사 시 대상 노동자들 중 18.7%가 지속성 고혈압을, 13.5%가 가면 고혈압을 앓고 있었다. 가면 고혈압을 앓고 있는 노동자의 경우 이전까지 고혈압 관련 진료를 받은 경험이 거의 없었다. 추적 관찰 결과, 주당 49시간 이상 일한 그룹은 지속성 고혈압에 걸릴 위험이 66%, 가면 고혈압에 걸릴 위험이 70% 증가했고 41~48시간 일한 그룹은 지속성 고혈압에 걸릴 위험이 42%, 가면 고혈압 위험성은 54% 증가했다. 이는 흡연 상태, 작업 시 긴장도, 성별, 나이, 교육 수준, 직업, 체질량 지수(BMI) 등 다른 요소들을 보정한 후 얻은 결과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긴 노동시간이 고혈압을 일으키는 독립적인 위험요인이라는 점이 밝혀졌으며 업무 수요가 많은 대신 재량이 적은 보직의 노동자들의 혈압이 더 많이 올랐다”며 “장시간 근무자를 주요 타깃으로 한 보건정책이 더욱 더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자비에르 트루델 라발대학 예방의학과 교수는 “지속성 고혈압과 가면 고혈압 모두 심혈관 질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장시간 근무자들이 가면 고혈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몸에 차는 혈압기가 더 많이 보급돼야 한다”고 얘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심장협회 공식학술지((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JAHA) 최근호에 실렸다.
헬스코리아뉴스 서정필 admin@hkn24.com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339941
'질병 > 고혈압, 중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 없이 혈압 낮추는 5가지 방법 (0) | 2020.01.12 |
---|---|
한미약품, 10주년 고혈압약 '아모잘탄' 연매출 1000억 (0) | 2020.01.02 |
소리없이 찾아오는 뇌경색 (0) | 2019.12.22 |
혈압 높은 게 왜 문제인가요? (0) | 2019.12.15 |
이대서울병원, 뇌졸중 건강강좌 개최 (0) | 2019.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