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폭량 계산 프로그램을 사용해 환자 방사선피폭량 줄일수 있게 됐다.
질병관리본부는 의료방사선 진단 시 환자가 불가피하게 받게 되는 방사선 피폭선량을 낮추기 위한 목적으로 정책연구사업을 통해 진단참고수준(Diagnostic Reference Level) 설정 및 방사선 피폭량 계산프로그램을 개발 했다고 20일 밝혔다.
국제방사선방어위원회(ICRP)가 권장하는 진단참고수준은 질병을 진단함에 있어 ALARA 원칙에 따라 최적의 방사선을 사용하기 위한 권고기준으로서, 과거 2007~2012년도에 설정한 진단참고수준을 개정했다.
기존 5세(표준 110cm, 19kg) 소아환자에 대해서만 설정되어 있던 진단참고수준을 10세(표준 140cm, 32kg) 소아환자와 기타 부위를 추가하는 등 확대 설정 한 것이다.
촬영 부위와 종류는 국내 촬영 건수 분석 및 임상 전문가의 협의를 통해 결정했으며 전국 의료기관에 설치ㆍ운영 중인 115대의 일반촬영장치, 176대의 유방촬영장치, 118대의 치과촬영장치로부터 획득한 환자 피폭선량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설정했다.
성인의 경우, 개정된 진단참고수준은 기설정된 진단참고수준과 비교해 일반촬영 8개 부위 및 치과 구내촬영에서 진단참고수준 값이 감소했으나, 일반촬영 6개 부위와 유방촬영, 치과 파노라마 촬영에서 진단참고수준 값은 소폭 증가했다.
또한, 진단참고수준을 일선 의료기관에서 적용하기 쉽도록 일반촬영 방사선 피폭량 계산 프로그램(ALARA-GR)을 개발했다.
현재 의료기관에 있는 대부분의 일반촬영장치는 방사선 피폭량 표기가 되지 않아 진단참고수준을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촬영부위, 연령, 전압, 전류 등 기본적인 촬영조건을 입력하면 방사선 피폭량이 계산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이다.
질본은 대한의사협회 등 관련 단체 및 학회를 대상으로 진단참고수준 및 방사선 선량 프로그램이 임상에서 널리 활용되어 환자에 대한 안전관리가 강화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질본 관계자는 “환자 피폭선량 저감을 위해서는 방사선 피폭량을 지속적으로 감시(모니터링)해야 하고, 진단참고수준 보다 높을 경우 장치 및 절차(프로토콜)를 개선하는 등 환자 피폭량을 줄이고자 노력해야 한다”며 “이번에 설정된 진단참고수준과 개발된 방사선 피폭량 계산 프로그램이 이러한 피폭량 저감 노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메디컬투데이 지용준 기자 yjun89@mdtoday.co.kr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325601
'병원 치료 > 방사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사선종사자 연간 피폭량 약간 감소 (0) | 2019.10.24 |
---|---|
자궁경부암 종양부위에만 방사선 쬐어주는 기술 개발 (0) | 2019.09.30 |
[스크랩] 이대서울병원,최첨단 암 치료 선형가속기 "트루빔-에스티엑스"도입!! (0) | 2019.09.10 |
강남세브란스, 유방암 수술 중 방사선 ‘IORT’ 500례 돌파 (0) | 2019.08.26 |
방사선+고주파 온열치료 … 자궁경부암 환자 생존율 높여 (0) | 2019.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