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 범계에 사는 직장인 이모씨는 여름을 맞이해 다이어트에 돌입했다. 그러나 다이어트에 대한 지식이 없어 체중관리를 어떻게 하면 건강하게 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늘었다.
우리나라의 비만인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체질량지수 30이상의 고도비만은 인구의 5.3%, 남자아동 및 청소년 비만율은 OECD 평균(25.6%)보다 비슷하거나 오히려 높은 수준이다.
비만은 당뇨병, 고혈압 등의 발생위험을 증가시키고 암으로까지 이어져 궁극적으로 사망위험을 높인다. 비만을 적극적으로 관리하려면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비만의 원인은 식사 및 운동 패턴의 문제로 인한 1차성과 질환(쿠싱증후군, 갑상선기능저하증, 우울증 등)에 의한 2차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2차성 비만은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지 않고 적절히 치료받지 못한 채 다이어트와 운동, 약물로 체중감소를 시도하면 원인 질환의 진행으로 전신적 문제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즉, 원인 질환을 해결하면 비만이 해결될 수 있기 때문에 의료진과의 긴밀한 상담을 통해 비만의 특성과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
물론 발생률로 볼 때 2차성 비만에 비해 1차성 비만이 많다. 1차성 비만은 식사량과 식사 패턴, 운동량, 심리적·수면상태 등을 되살펴보고 생활 속 교정을 통해 충분히 비만을 건강하게 예방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단기적으로 체중을 감량하기 위해 식사요법의 변화를 시도한다. 대표적으로 고지방저탄수화물, 간헐적 단식, 원푸드 다이어트, 단식 등이 있다. 하지만, 장기적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근거는 찾아보기 어려운 상태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경희대병원 내분비내과 전숙 교수는 “이러한 극단적인 다이어트보다는 현재의 상황에서 시도 가능하고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식사요법을 추천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전문 의료진을 통해 현재 자신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영양교육과 함께 자신에게 맞춤화된 식사요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많은 사람들은 한번에, 빨리 살을 빼고자 한다. 날씬해지고 싶은 마음이 큰 만큼 극단적인 다이어트를 하는데 이는 결국 요요현상과 건강이상을 초래한다”며 “이론적으로 적절한 체중감량 목표는 1개월에 1.5~2㎏가 적당하다”고 설명했다.
전 교수는 또 “다이어트는 어렵지만 욕심을 버리고 자신이 지속적으로 실천하고 유지할 수 있는 만큼 건강한 식사와 적절한 운동을 병행한다면 건강한 체중관리가 가능하다”며 “전문 의료진과의 상담을 통한 정확한 원인 파악과 영양교육은 필수다”라고 조언했다.
메디컬투데이 박정은 기자 pj9595@mdtoday.co.kr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311820
'질병 > 비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어트로 '과일' 폭풍 흡입? 살 찌는 지름길 (0) | 2019.06.23 |
---|---|
강서 미즈메디병원, '다이어트의 비밀' 강좌 (0) | 2019.06.20 |
김미려 14kg 감량… 깻잎이 다이어트 효과 있나? (0) | 2019.06.16 |
나이 들면 왜 옆구리·등에도 살이 붙는 걸까? (0) | 2019.06.16 |
민경훈 30kg 감량… 고구마 '이렇게' 먹어야 다이어트에 도움 (0) | 2019.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