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암정보

국내 연구진, 대식세포의 암 전이 억제 효과 확인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9. 3. 21.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이지희 교수 연구팀이 암 전이를 억제하는 대식세포의 효과를 규명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항염증 및 조직 치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사멸세포의 인식 및 포식 작용(Efferocytosis)’이 암 세포의 중간엽 전환(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과 이동, 침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2D와 3D 세포 배양을 통해 새롭게 규명했다. 아울러, 사멸된 세포를 생쥐 피하에 투여시 종양의 항전이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했다.

▲이지희 교수 (사진=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제공)
▲이지희 교수 (사진=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제공)

기존 많은 연구의 종양미세환경에서 종양-관련 대식세포는 암치료를 방해하고 암의 진화를 도모하는 작용을 한다는 결과를 주장해 왔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대식세포가 사멸화 세포와 작용시 리프로그래밍 되어 전이에 근간이 되는 암세포의 EMT, 이동 및 침투를 억제함으로써 항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처음으로 제시해 의의가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암이 생명에 위협이 되는 가장 큰 원인은 암세포의 전이성에 있으며, 암으로 인한 사망의 대부분은 암 전이로 설명된다. 암 정복은 실질적으로는 암 전이와의 싸움이라 볼 수 있으며, 현재 암 전이 기전에 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이렇다할 치료제 개발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지희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향후 새로운 개념의 항-암전이 백신이나 세포 치료제, 세포 치료법의 부작용을 최소화한 무세포 사멸화세포 조건 배양 조성물을 이용한 치료제 개발 등에 있어서 임상 적용 또는 실용화의 토대가 될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한편 '사멸된 암세포에 의한 대식세포의 프로그래밍을 통한 암 진화 및 전이 억제 효과발견'란 제목의 연구 논문은 세계적인 국제학술지 ‘세포 및 분자 면역학’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기초연구사업(MRC 선도연구센터지원, 중견연구자지원사업과제)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공동연구팀은 교신저자 이지희 교수, 김용배 연구교수(제1저자), 공동연구 안영호, 이진화 교수, 이예지 연구원 및 정지혜 석사 과정 등으로 이뤄졌다.


메디컬투데이 남연희 기자 ralph0407@mdtoday.co.kr

  • * Copyright ⓒ 메디컬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296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