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선은 평생 치료와 관리가 필요한 만성 피부질환이다. 하지만 질환에 대한 인지도가 낮아 건선 증상을 다른 피부 질환으로 오인하거나, 민간요법에 의존하다가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문제는 건선을 제대로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건선 증상의 악화뿐만 아니라 건선 관절염과 같은 동반질환이 발병할 수 있다는 점이다. 피부과 명의에게서 건선의 대표적인 동반질환인 건선 관절염에 대한 답변을 들어본다.
Q1. 건선이 나타나면 관절 통증도 살펴야 한다던데, 왜 그런가요?
A1. 건선은 단순 피부 질환이 아니라 몸의 면역학적 이상에 의해 발생되는 난치성 질환으로 건선 관절염 등 동반질환 발생 위험이 있습니다. 건선 관절염은 건선과 같이 신체 면역이 조직을 공격해 발생합니다. 보통 건선 환자의 9~14% 정도에서 나타나며, 6개월만 치료가 늦어져도 관절이 영구적으로 손상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아직 질환 인지도가 낮아 퇴행성 관절염 등으로 오인해 제대로 된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피부과에서 건선을 치료할 때, ‘관절이 붓고 관절통’이 있으면 바로 의사에게 이야기하는 것이 건선 관절염의 진단에 매우 중요합니다.
Q2. 그럼, 건선 관절염은 건선이 있는 환자에게만 나타나나요?
A2. 건선이 있는 환자에서 관절이 붓고 아프면 건선관절염을 의심합니다. 건선 관절염은 피부증상이 관절염보다 먼저 나타나는 것이 75%이며, 15%의 환자는 건선 관절염이 먼저 나타납니다. 피부건선과 관절염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도 약 10%정도 있습니다.
Q3. 건선 관절염의 증상은 어떠한가요?
A3. 증상으로는 일반적인 피로감, 힘줄 주변의 붓기 혹은 통증, 손발가락이 소시지처럼 붓는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침에 일어났을 때 손발이 붓고, 손 발을 폈다 쥐었다 하는 것이 잘 되지 않거나, 운동을 할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되는 것도 건선관절염의 증상 중 하나입니다. 주로 손가락이나 발가락과 같은 작은 관절에 생기는 경우가 많으나, 우리 나라에서는 오히려 척추염 형태의 건선 관절염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손발톱에 찍힌 모양이나, 손톱 끝이 분리되는 등 손발톱 변형이 있을 때 건선 관절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유사한 증상이 지속된다면 내원해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Q4. 건선 관절염의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A4. 건선 관절염의 치료에는 주로 소염진통제, 항류마티스제제(DMARDs), 생물학적 제제 등의 약물을 사용합니다. 최근의 생물학적 제제의 경우 약제에 따라 건선과 건선 관절염 치료제로 함께 쓰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건선 관절염도 조기에 치료를 하면 통증과 염증을 완화하고 관절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1/22/2019012200935.html
'질병 > 아토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6주 이상 가렵고, 발진 생기면 만성 두드러기…꾸준히 약 먹어야 완치" (0) | 2019.01.27 |
---|---|
[스크랩] "건선, 100% 호전 논할 만큼 치료법 발전… 희망 가져야" (0) | 2019.01.24 |
[스크랩] 단순 건조증은 보습제로 해결… 발진·각질 심하면 약물 치료를 (0) | 2019.01.16 |
[스크랩] 겨울만 되면 푸석푸석… 겨울철 피부 관리 실천팁 5 (0) | 2019.01.13 |
[스크랩] 건선치료, 환자특성에 따라 약제선택 신중해야 (0) | 2019.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