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류별 암/갑상선암

[스크랩] ‘임신 중 경미한 갑상선 기능 이상, 태아 영향 거의 없어’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9. 1. 16.

출처:의학신문

출처:의학신문

[의학신문·일간보사=정윤식 기자] 국내 의료진이 임신 중 경미한 갑상선 기능 이상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해 주목된다.

임신 초기 갑상선질환 없는 산모는 갑상호르몬치를 기존 권고치인 2.5ulU/mL 이하 보다 높은 4.0 ulU/mL 이하 유지해도 무리가 없다는 것이 핵심 내용인 것.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내분비내과 (대한갑상선학회 이사장)는 임신 초기의 산모가 갑상선기능 저하 진단을 받았을 때 최근 변경된 가이드라인을 반드시 확인할 것을 15일 권고했다.

임신 전후로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있다면 주의해야 하는 이유는 모체가 갑상선기능저하증 상태일 경우 태아의 발육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심한 경우 태아의 IQ가 낮아질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가 알려진 후 산모에게 갑상선 기능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의 설명에 따르면 태아의 갑상선은 임신 12-13주에 발생하므로 임신 초기 태아의 발달 및 성장에 있어 필수적인 갑상선호르몬을 모체로부터 공급받아야 한다.

대부분의 산모들은 임신 초기의 요구량에 맞춰 갑상선호르몬 생산을 증가시키게 되고, 따라서 임신 초기 갑상선호르몬치의 정상 범위는 임신하지 않은 경우보다 좀 더 높은 상태로 책정된 것.

실제로 2011~2012년 미국 등에서 발표된 가이드라인에서 임신 1기 갑상선자극호르몬치를 2.5 uIU/mL 이하로 유지하도록 해 최근까지 가이드라인에 맞춰 진료가 이뤄졌다.

그러나 최근 임산부를 대상으로 해 진행된 몇몇 연구에서 경미한 정도의 갑상선기능 이상은 태아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는 결과가 도출돼 2017년, 미국갑상선학회에서는 이 연구 결과들에 근거해 임신 초기 갑상선질환이 없는 산모에서는 갑상선자극호르몬치(TSH)를 4.0uIU/mL 이하로 유지해도 좋다는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바 있다.

이가희 교수
이가희 교수

는 "최근 연구에 따르면 갑상선자극호르몬 관련 정상수치 범위가 다소 완화된 경향이 있다"며 "임신과 출산을 계획하고 있다면 이러한 사항들을 숙지하고 갑상선기능검사를 받아 기능이 정상인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어 "다만 하시모토갑상선염이 있는 산모에서는 기존대로 갑상선자극호르몬치가 2.5 uIU/mL 이상이면 갑상선호르몬 치료를 하라고 권고하고 있다"며 "때문에 임신 초기 갑상선기능검사에 이상이 있는 경우 하시모토갑상선염 등의 갑상선질환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치료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의학신문 의학신문 정윤식 기자 21hero@bosa.co.kr

  • * Copyright ⓒ 의학신문 All Rights Reserved.
  •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287231

  •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