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혈 등으로 인해 혈중 헤모글로빈 농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젊은 여성은 10년 뒤 급성심근경색, 뇌졸중, 뇌혈관질환 및 사망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앙대학교병원 건강증진센터 이경실 교수팀과 서울대병원 건강증진센터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국가건강검진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뇌심혈관질환이 없는 국내 20~39세 여성 80만명을 대상으로 헤모글로빈 농도 및 2년간의 헤모글로빈 변화가 10년 후 뇌심혈관질환 발생 및 사망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 추적 관찰했다. 연구팀은 헤모글로빈이 12g/dL 미만인 경우 빈혈, 12~13.9g/dL인 경우 정상범위, 14g/dL 이상인 경우 헤모글로빈이 높은 군으로 나눴다. 그리고 헤모글로빈 농도에 따른 뇌심혈관질환 위험도 및 사망률을 10년간 추적 조사했다. 그 결과, 헤모글로빈 농도가 12g/dL 미만이거나 14g/dL 이상인 경우 뇌졸중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했고, 12g/dL 미만인 경우 총 사망 위험도 증가했으며, 급성심근경색, 뇌졸중, 뇌혈관질환 및 총 사망 위험 모두 헤모글로빈이 정상 범위를 벗어난 범위에서 유의하게 증가했다. 또한, 헤모글로빈의 2년간의 변화와 심혈관질환 및 총 사망 위험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헤모글로빈 농도가 증가한 경우 10년 후 급성심근경색 및 뇌졸중의 위험이 각각 50%와 10%씩 높아졌고, 빈혈인 여성이 2년 후 정상 범위 헤모글로빈 농도로 개선되었을 때 2년 후 총 사망위험이 20% 감소했다.
이경실 교수는 “지금까지 헤모글로빈 농도나 빈혈과 뇌심혈관위험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는 대부분 다른 심각한 질병이 있거나, 중년 이상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다"며 "이런 경우 빈혈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여 관련성이 확인되더라도 위험을 낮추기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이 교수는 “반면 젊은 여성의 빈혈은 90% 이상이 치료가 되는 철결핍성 빈혈인데, 건강한 젊은 여성의 경우 본인이 빈혈이라 하더라도 철분제 복용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복용을 거르는 경우가 많아 빈혈의 개선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특별한 기저질환이 없는 젊은 여성의 빈혈도 개선이 되면 급성심근경색, 뇌졸중, 뇌혈관질환 및 총 사망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점이 밝혀져 철분제의 꾸준한 복용과 정기적인 헤모글로빈 선별검사가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전달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심장학회지(Journal of American Heart Association)’ 최신호에 게재됐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30/2018103001168.html
'질병 > 그밖의 중요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추워진 날씨, 뇌혈관 부풀다 터지는 `뇌동맥류` 주의보 (0) | 2018.11.05 |
---|---|
[스크랩] 젊은 나이에 벌써 치매? 건망증 심하면 `이 질환` 의심 (0) | 2018.11.01 |
[스크랩] "갑작스러운 콩팥 손상, 치매 위험 3배로 높여" (0) | 2018.10.30 |
[스크랩] 가슴 조여오는 ‘협심증’, 돌연사 유발 위험까지 (0) | 2018.10.30 |
[스크랩] 폐에서 바람새는 ‘기흉’ 환자 절반이 10~20대 (0) | 2018.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