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치유에 도움/암 대체,보완요법

[스크랩] 암의 근본 원인 ?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8. 10. 18.

암의 근본적인 원인은

몸 전체 차원에서 면역력이 저하되고...

세포 차원에선 세포에 30% 이상 산소가 부족해지면서 암성세포로

변이가 되기 시작 하는데...

 

세포의 에너지 근원인 포도당이...

정상세포에선 포도당 ---> 미토콘드리아 --->이산화탄소 +물

암세포에선 포도당 ---> 세포질 ---> 젖산

 

세포내의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에너지 공장

세포막 = 단백질 + 지방(필수지방산)

필수지방산은 산소와 당을 세포내로 전달하는데 핵심 상황임 그래서..

필수지방산을 산소자석이라 부르기도 함.

 

암성세포란 산소호흡이 적어지고 무산소호흡이 증가하는 세포를 말하는데...

무산소호흡은 : 포도당 1개 ---> 2 ATP 생성

산소호흡 : 포도당 1개 ---> 36 ATP 생성

세포는 일정량의 에너지 생성...

 

세포내에서..

포도당 ---> 피루브산 ---> 1) 무산소호흡 단계 : 세포질 ---> 젓산 +  H+

                                      2) 산소호흡 단계 : 미토콘드리아 ---> 이산화탄소 + 물

 

암세포의 경우 포도당을 무산소호흡 단계를 통하여 세포질에서 젓산과 수소이온(H+)

으로 분해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얻어서 무한증식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암세포의 무산소호흡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암유발 증식요인들을 보면...

첫째 : 산소가 세포막을 통해서 세포내로 들어가야 되는데...

         세포막이 경화되어 있는 경우 산소가 정상적으로 세포내로 유입이 되지 못하는데..

        그것이 세포내의 산소공급이 부족해지는 원인인데 세포가 필요로 하는 산소량이

        30% 이상 줄어들게 되면 암성세포의 무산소 호흡 단계로 변화되게 된다..

       * 세포막의 경화도가 80% 이상의 경우 세포에 산소가 30% 이상 부족해 지게 된다..

       * 세포막의 경화 현상은 산소의 공급만 제한 되는 것이 아니라 당이 세포막을 통하여

         세포내로 들어가는데도 제약이 걸려 당뇨, 고혈압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그래서 어떻게 하면 세포의 경화된 것을 유연화 시켜 세포의 산소 부족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 그것이 과제이다.

       * 세포막이 단백질과 필수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다양한 필수지방산을 보충하기

         위해 아마씨유,코코넛오일 등의 섭취를 권하는데, 문제는 이런 것이 인체에 정상적으로

         흡수되기 위해선 세포막 유연성 관련 유전자 DNA가 정상작동 해야 되는데...

         유전자 스위치가 오프된 휴면상태의 유전자가 되어 버린 경우는 특정 필수지방산을 섭취해도

         흡수가 되지 않고 저항성이 발생하고 의미가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 세포막 유연성 관련 휴면 유전자 DNA를 깨우는 것이 암치유의 첫걸음이다.

 

둘째 : 암세포의 저산소유도 유전인자 DNA의 프로그램이 암이 전이된 세포에선...

         암세포의 저산소 유도 유전인자에 의하여 포도당이 미토콘드리아의 과정이 아닌...

         세포질의 무산소호흡의 과정을 통하여 분해하는 과정으로 유도하는 데...

       *  저산소 유도 유전인자(HIF-1)을 OFF(OUT) 하여 이런 유전인자가 작동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이다.

       * 피루부산과 젓산을 미토콘드리아로 들여보내는 작용을 하는 유전자, 즉 산소공급 유도

         유전인자가 휴면 상태에 들어가면, 미토콘드리아 호흡을 거치지 못하고...

         당이 분해되는 과정이 세포질에서 무산호흡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 그래서 세포내의 산소공급 유도 유전인자(알피리포익산 관련 휴면 유전자 DNA)를

          활성화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 미토콘드리아 내의 TCA(구연산)회로에 문제가 발생되어, 즉 에너지 생성 발전기의

        성능에 문제가 발생하여, 당의 미토콘드리아내에서 연소가 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

        하여 세포질에서 무산소호흡의 과정으로 넘어가는 경우도 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이런 경우는 TCA 회로 관련 휴면 상태의 유전인자를 활성화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 또한 미토콘드리아의 전자전달계를 작동하는 유전자 프로그램이 문제가 되어...

         산소호흡이 되지 못하는 경우도 전자전달관련 휴면 유전자를 깨워야 한다.

 

넷째 : 암세포의 생존경로 관련 AKT, NF-카파B, COX-2,  HER-2, FoxM1, IL-8

        히스톤탈아세필화효소 관련 유전자 프로그램을 OFF 시키는 것...

        * 암세포의 생존을 막는 유전자 p21, p53, PTEN, TNF, FAS, TRAIL, JNK 유전자들을

        휴면상태에서 깨워 활성화 시켜야 한다.

 

 ---  모세혈관을 통해 운반된 포도당과 산소가 세포막을 순조롭게 통과하여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완전 연소됨으로써

        에너지를 생산하고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되는 정상 세포의 산소호흡과정....


        모세혈관에서 산소를 세포막을 거쳐 미토콘드리아충분공급할 수 있다면...  

        충분해진 산소로 인해 산소호흡과정이 원활해져, 암세포는 수월하게 사라지게 된다.

        암세포라 하더라도 세포막을 통하여 정상적으로 산소가 유입되고...

        산소공급을 저해하는 유전자를 아웃시키고 미토콘드리아에 산소가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TCA(구연산)회로와 전자전달계가 정상작동하는 산소호흡이 일어나면...

        암세포도 정상세포로 전환될 수 있다..

      * 암세포는 무조적 파괴하고 죽여야 할 대상으로 보는 것이 아닌..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변화시키는 전략이 더 중요하다고 본다.

 

출처 : ※통합요법(MMS,소다요법,대체의학)※
글쓴이 : miracles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