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류별 암/기타암

[스크랩] 침샘암, 전이 없으면 생존율 90% 이상…조기 진단 중요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8. 8. 23.

삼성서울병원 정한신 교수팀 분석

입에 손을 대고 있는 사람
침샘암은 전이가 안 된 상태면 생존율이 높아, 조기 진단하는 게 중요하다 /사진=헬스조선DB

고악성도 침샘암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 요인은 '전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정한신 교수팀은 1995년~2014년 사이 고악성도 침샘암으로 치료 받은 환자 124명을 분석해, 예후를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했다.

그 결과, 진단 시점에서 조기암(원발암 크기 1-2기)에 해당하는 환자는51.6%, 암이 어느 정도 진행된 상태인 경우(원발암 크기 3-4기)가 48.3%였다. 이들 가운데 주변 림프절로 전이가 확인된 환자는 49.2%이었고, 폐나 뼈 등으로 원격 전이가 발생한 환자는 12.1%였다. 침샘암 환자의 평균 나이는 61세로 남자 환자가 여성 환자 보다 3배 가량 더 많았다.

연구팀은 이들 환자의 나이와 성별, 병의 진행 정도와 치료 과정 등을 살펴 고악성도 침샘암 환자의 예후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무엇인지 살폈다. 그 결과, 전이 여부가 생존율과 큰 관련이 있다고 나타났다. 전체 침샘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63.4%였지만, 암 크기가 크지 않는 경우(원발암 크기 1-2기) 전이가 없으면 고악성도 침샘암이라도 생존율은 93.2%였다. 암이 조금 더 자라 주변 조직을 침범한 원발암 3~4기라 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전이가 없을 때 생존율이 76.2%로 양호한 수준을 나타냈다. 진단 당시 이미 전이가 된 상태라면 생존율이 낮았다.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5년 생존율은 44.6%에 그쳤고, 원격 전이가 겹치면 21.1%로 낮아졌다.  림프절 전이가 있으면 사망 위험이 5.6배, 원격 전이가 있으면 질병 사망률은 4.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한신 교수는 “침샘암은 조기 발견만 해도 생존율이 90%에 이를 정도로 치료 결과가 좋지만 시기를 놓치면 다른 암종 보다 예후가 더 나빠지는 게 특징”이라며 “주로 50대 이후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만큼 중년 이후 침샘 부위를 자주 만져보고 이상 증상이 있으면 빨리 의사와 상담해 병의 유무를 밝히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침샘암 초기 증상은 통증이 없는 덩어리가 침샘 부위에 만져지는 것이다. 침샘의 위치는 귀 아래 앞쪽 부위(귀밑샘)와 턱 뼈 아래(턱밑샘)다. 이 부위를 스스로 만져 보면서 평소와는 다른 덩어리가 있는지 확인하면 된다.

한편, 해당 연구 결과는 암 분야 국제 학술지 ‘BMC Cancer’ 최근호에 게재됐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8/20/2018082002345.html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