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정한신 교수팀 분석
고악성도 침샘암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 요인은 '전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정한신 교수팀은 1995년~2014년 사이 고악성도 침샘암으로 치료 받은 환자 124명을 분석해, 예후를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했다.
그 결과, 진단 시점에서 조기암(원발암 크기 1-2기)에 해당하는 환자는51.6%, 암이 어느 정도 진행된 상태인 경우(원발암 크기 3-4기)가 48.3%였다. 이들 가운데 주변 림프절로 전이가 확인된 환자는 49.2%이었고, 폐나 뼈 등으로 원격 전이가 발생한 환자는 12.1%였다. 침샘암 환자의 평균 나이는 61세로 남자 환자가 여성 환자 보다 3배 가량 더 많았다.
연구팀은 이들 환자의 나이와 성별, 병의 진행 정도와 치료 과정 등을 살펴 고악성도 침샘암 환자의 예후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무엇인지 살폈다. 그 결과, 전이 여부가 생존율과 큰 관련이 있다고 나타났다. 전체 침샘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63.4%였지만, 암 크기가 크지 않는 경우(원발암 크기 1-2기) 전이가 없으면 고악성도 침샘암이라도 생존율은 93.2%였다. 암이 조금 더 자라 주변 조직을 침범한 원발암 3~4기라 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전이가 없을 때 생존율이 76.2%로 양호한 수준을 나타냈다. 진단 당시 이미 전이가 된 상태라면 생존율이 낮았다.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5년 생존율은 44.6%에 그쳤고, 원격 전이가 겹치면 21.1%로 낮아졌다. 림프절 전이가 있으면 사망 위험이 5.6배, 원격 전이가 있으면 질병 사망률은 4.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한신 교수는 “침샘암은 조기 발견만 해도 생존율이 90%에 이를 정도로 치료 결과가 좋지만 시기를 놓치면 다른 암종 보다 예후가 더 나빠지는 게 특징”이라며 “주로 50대 이후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만큼 중년 이후 침샘 부위를 자주 만져보고 이상 증상이 있으면 빨리 의사와 상담해 병의 유무를 밝히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침샘암 초기 증상은 통증이 없는 덩어리가 침샘 부위에 만져지는 것이다. 침샘의 위치는 귀 아래 앞쪽 부위(귀밑샘)와 턱 뼈 아래(턱밑샘)다. 이 부위를 스스로 만져 보면서 평소와는 다른 덩어리가 있는지 확인하면 된다.
한편, 해당 연구 결과는 암 분야 국제 학술지 ‘BMC Cancer’ 최근호에 게재됐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8/20/2018082002345.html
'종류별 암 > 기타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美 HPV 관련, 구인두암 ‘최고’ (0) | 2018.09.06 |
---|---|
[스크랩] 손발톱에 생긴 검은색 선, 암일까? (0) | 2018.08.29 |
[스크랩] 뼈에도 종양이? 10대 男 청소년서 많이 발생하는 ‘골종양’ (0) | 2018.08.23 |
[스크랩] 지난 10년 간 가파른 증가세... 피부암 A to Z (0) | 2018.08.23 |
[스크랩] 27일, 원주세브란스병원 ‘두경부암 무료검진’ (0) | 2018.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