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은 합병증이 무서운 병이다. 특히 눈 합병증은 시력저하를 유발해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당뇨병 환자는 2013년 231만 4116명에서 2017년 284만 7160명으로 약 23% 증가했다. 당뇨병성 망막병증 환자는 2013년 27만 7022명에서 2017년 35만 3244명으로 약 28% 증가하여 당뇨병 환자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당뇨병은 높은 혈당으로 인해 혈관을 손상시키는 질환으로 우리 몸 속의 모세혈관이 있는 곳에 합병증을 일으키는데, 그 중 눈에 생기는 당뇨망막병증은 시력을 심각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당뇨합병증 중 눈에 발생하는 당뇨망막병증은 황반변성, 녹내장과 함께 3대 실명 질환이다. 우리 눈에서 망막은 물체의 상이 맺히는 중요한 곳으로 많은 영양소와 산소가 필요하여 모세혈관이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다. 당뇨병으로 인해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 망막 혈관벽이 두꺼워져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지 못해 망막세포가 죽게 되는데 이것이 당뇨망막병증이다.
당뇨망막병증은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과 증식성 당뇨망막병증 두 가지로 나뉜다.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은 혈관이 좁아지고 영양공급이 잘 되지 않아 망막미세혈관의 순환장애가 발생하는데 망막 위에 출혈이 생기고 황반이 부어오르는 황반부종이 생기기도 한다. 비증식성 당뇨망막병증이 더 진행되면 증식성 당뇨망막병증으로 발전하게 되는데 망막에 혈액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아 신생혈관이 생겨 쉽게 파괴되고 출혈을 일으켜 심할 경우 실명할 수도 있다.
당뇨망막병증은 초기에 시력이 저하되거나 눈앞에 벌레가 떠다니는 비문증 등이 나타날 수 있지만 노안 증상과 비슷하여 방치하기 쉽다. 이미 떨어진 시력은 다시 회복하기 어려우므로 이상 신호가 느껴지면 빠르게 안과를 찾는 것이 좋다. 당뇨망막병증 치료는 진행시기와 눈 상태에 따라 항체주사치료, 레이저시술(범망막광응고술 등), 수술치료(유리체절제술 등)를 시행한다. 그 외, 다양한 연구에 따르면 당뇨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백내장 발병률은 5배 높고 녹내장 또한 4배 정도 높다고 알려져 있어 예방을 위한 정기적인 안과검진도 중요하다.
누네안과병원 망막센터 오현섭 원장은 “당뇨를 진단받은 환자라면 6개월~1년에 한 번 정기적인 안과검진이 필수다”며, “안과적인 치료도 중요하지만 당화혈색소가 1% 감소하면 미세혈관질환 합병증 발생률은 37% 감소하므로 당화혈색소를 관리 하는 것이 기본이다”고 말했다. 이어 “여름철 햇빛이 강한 낮에 외출 할 때는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선글라스나 챙이 넓은 모자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20/2018072001739.html
'질병 > 당뇨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인은 췌장 크기 작고, 기능 떨어져 당뇨병 걸린다" (0) | 2018.07.29 |
---|---|
[스크랩] 주 당 45시간 이상 일 하는 여성 당뇨병 발병 위험 ↑ (0) | 2018.07.29 |
[스크랩] `혈당 조절`에 도움 주는 음식, 해가 되는 음식 (0) | 2018.07.20 |
[스크랩] 당뇨병 치료제 ‘기저 인슐린’ (0) | 2018.07.18 |
[스크랩] 국내 개발 인공췌장기, 당뇨 치료 효과 입증 (0) | 2018.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