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병원 위암센터 연구 결과
말기암이라 불리는 4기 진행성 위암은 암이 간, 폐, 뼈 혹은 복막 등 타 장기에 전이되거나 위에서 멀리 떨어진 림프절에 전이된 상태이다.
4기 위암 환자는 생존율이 낮으며, 완화 목적의 수술과 항암치료가 주를 이룬다. 하지만 항암화학요을 한 뒤 광범위하게 위절제술을 하는 다학제 치료가 4기 진행성 위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암병원 위암센터(위장관위과) 박조현·서호석 교수팀이 2010년~2015년 서울성모병원 등 가톨릭의대 산하 8개 부속병원 외과에서 4기 위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419명을 분석하였다.
이 중 212명은 항암화학단독요법, 124명은 완화적 위 절제술 후 항암화학요법, 23명은 전환수술요법(항암화학요법 후 광범위 위절제술), 60명은 완화적 목적의 보존적 치료를 받았다.
그 결과 전환수술요법을 받은 환자의 3년 생존율은 42.8%로 항암화학단독요법 환자군의 12.0% 비하여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수술의 치료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항암화학요법에 반응이 있었던 환자들만 분석해도, 전환수술요법 3년 생존율은 61.1%로, 항암화학단독요법의 16.2%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다.
위암은 위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이다. 위암을 완치시키는 유일한 방법은 근치적 수술로 암을 제거하는 것이다. 하지만 4기 진행성 위암은 치료 성적이 좋지 않은데, 이러한 환자를 위해 항암치료로 위암을 절제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고 수술 하는 것이 전환수술이다. 전이 병변을 치료하거나 줄인 뒤 수술을 통해 암을 잘라내는 것이다.
박조현 교수는 “현재까지 4기 진행성 위암 환자의 생존율은 매우 낮은데, 이번 연구가 새로운 치료 방향을 제시할 것이며, 말기암을 포함한 진행성 위암 환자라도 희망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주치의와 치료에 임하기를 바란다”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이어 박 교수는 “위암에 의한 특이한 증상은 없으며, 다른 일반적인 위장 질환과 구분이 어려운데, 조기 위암은 수술 후 생존률이 95%에 이를 정도로 높기 때문에 40세 이상이면 2년에 한 번 제공되는 국가 건강검진에 꼭 참여 해야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외과학회(International Society of Surgery) 학술지 '세계 외과 저널(World Journal of Surgery)‘ 온라인판에 게재되었다.
한편, 우리나라 위암 발병률은 세계 1위로,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위암은 2015년에 1만 9545명이 진단돼 전체 암 발생의 17.2%를 차지했다. 최신 진단법으로 조기 위암 비중이 늘고 있지만, 아직도 위암 환자의 절반가량은 진행성 위암으로 진단된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6/22/2018062201561.html
'종류별 암 > 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항암치료후 절제술의 뭉클한 위 (0) | 2018.07.01 |
---|---|
[스크랩] 위암 발병률 낮춘다는 `아스피린 장기 복용` 위험할 수도 (0) | 2018.06.27 |
[스크랩] 4기 위암환자 ‘항암 후 광범위 위절제술’ 생존율 향상 (0) | 2018.06.24 |
[스크랩] "아스피린 장기 복용 시 胃癌 위험 낮아진다" (0) | 2018.06.24 |
[스크랩] 위암과 양치질 (0) | 2018.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