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기 비만이 치매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경북대병원 가정의학과 고혜진 교수팀은 2005년부터 2015년까지 비만과 치매에 관련해 발표된 연구 12편(미국:6 유럽:5 호주:1)의 대상자 약 202만 명을 메타 분석했다. 65세 미만을 중년기(mid-life), 65세 이상을 노년기(late-life)로 봤으며, 비만은 체질량지수(BMI)를 지표로 각 논문의 기준(25 또는 30 이상)을 따랐다. 그 결과, 중년기 혹은 노년기에 비만일 때 정상 체중을 가진 사람에 비해 치매 위험이 약 1.5배로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중년기 비만과 치매와의 상관관계만을 살펴보면 치매의 위험도가 1.9배까지 높아졌다. 하지만 노년기의 비만과 치매의 관계에 있어서는 특별한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연구팀은 중년기 비만 자체가 심혈관질환이나 대사성질환의 위험을 높여 치매로 이어진다는 연구가 많다고 밝혔다. 그리고 지방 조직이 분비하는 '아디포카인'이라는 호르몬이 체내 염증반응을 증가시켜 인슐린 저항성을 야기하는 등 치매 위험성을 높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중년 이상이라면 비만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하지만 노년기 치매에 관련해서는 상반된 연구가 다수 존재하는 만큼 해석하는 데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 결과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3/29/2018032901238.html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
'질병 > 비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살 빼려면 `식전` 운동하고 `무산소` 먼저 (0) | 2018.04.05 |
---|---|
[스크랩] `무엇`을 먹느냐 보다, `언제` 먹었느냐가 체중감량에 중요 (0) | 2018.04.01 |
[스크랩] 비만 아니라도 평균 3% 체칠량지수(BMI) 줄여야 `당뇨병` 예방 (0) | 2018.04.01 |
[스크랩] 셀룰라이트, 몸속 노폐물 축적된 상태…없애는 방법 있나? (0) | 2018.03.28 |
[스크랩] 체중 관리, 규칙적인 식사에 달려있다 (0) | 2018.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