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위암을 내시경으로 절제한 후 헬리코박터균을 제균하면 재발 위험이 크게 낮아진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헬리코박터균은 위 점막의 점액층 바로 밑에 붙어 기생하며 각종 독소를 만들어 위 세포를 손상시키는 균이다.
국립암센터 위암센터 최일주 박사(소화기내과 전문의) 연구팀은 2003~2013년 조기 위암을 내시경 절제술로 떼어낸 환자 1350명 중 헬리코박터균 양성인 396명에게 제균약이나 위약을 투여한 후 위암 발생이나 위축성 위염 호전 여부를 2016년까지 추적 조사했다. 그 결과, 최장 시간(12.9년, 중앙값 5.9년) 제균약을 복용한 그룹 194명 중 14명(7.2%)에서, 위약을 복용한 그룹 202명 중 27명(13.4%)에서 위암이 각각 새로 발생해, 제균약 그룹이 위약 그룹에 비해 위암 발생 위험이 50%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헬리코박터가 성공적으로 제균된 환자는 지속적으로 감염돼있는 환자에 비해 위암 발생 위험도 68%나 감소했다. 헬리코박터를 제균한 그룹은 위축성 위염도 유의하게 호전됐다. 위축성 위염은 위암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 인자다. 제균약 복용 그룹은 48.4%(157명 중 76명), 위약 복용 그룹은 15%(153명 중 23명)에서 위 체부 소만부의 위축성 위염이 조직학적 호전을 보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 의학저널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에 게재됐다.
최일주 박사는 “이 연구의 의의는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가 위암 예방 효과가 있다는 것을 고위험군인 조기 위암 환자에서 증명했다는 데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월부터 조기 위암으로 내시경 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에 대해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조기 위암의 경우, 2006년부터 절제술 뒤 제균 치료가 법적으로 허용됐지만 전액 본인 부담이었다가 이번에 급여화된 것이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3/22/2018032201111.html
'종류별 암 > 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헬리코박터균 꼭 제거하세요! (0) | 2018.03.26 |
---|---|
[스크랩] "위암 수술 후 불필요한 항암치료 안 받아도 돼" (0) | 2018.03.23 |
[스크랩] 한국인의 주요 사망원인 `위암`…왜 발생할까? (0) | 2018.03.04 |
[스크랩] 조기 위암, 빛으로 잡는다!! (0) | 2018.02.25 |
[스크랩] 병원 찾는 20대 급증…특히 위암 발병 위험 높아 (0) | 2018.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