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 증식을 억제하는 인자와 기전을 규명한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한국원자력의학원은 권희충·구경희 박사 연구팀이 대장암 세포주에서 마이크로알엔에이(microRNA)의 집합체인 마이크로알엔에이 라이브러리를 분석한 연구에서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14일 밝혔다.
항암제를 주사하거나 복용하는 기존 항암치료의 경우 암세포뿐만 아니라 정상세포도 함께 손상시키는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환자 치료에 걸림돌이 되어 왔다.
연구팀은 대장암 세포주에서 마이크로알엔에이(microRNA)의 집합체인 마이크로알엔에이 라이브러리를 분석하여, 암세포의 생장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 PAK2와 CCND3의 발현을 억제하여 암세포를 파괴하고 암세포의 분열을 지연시키는 마이크로알엔에이 ‘miR-4779’을 세계 최초로 찾아냈다.
대장암 세포를 이용한 세포 생존률 실험결과, 현재 임상실험이 진행 중인 대표적인 암 억제 마이크로알엔에이 ‘miRNA-34a’ 보다 miR-4779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1.5배 가량 높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60%의 대장암 환자 암 조직에서 주변의 정상조직보다 miR-4779의 발현 양이 2배 이상 감소되어 있었고, 표적 유전자 발현은 2~3배 증가돼 있어 miR-4779의 새로운 항암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권희충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miR-4779를 암 억제 유전자치료제로 개발하고, 생체 내 전달효율 증대방법 개발 등 실용화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자매지인 ‘세포 사멸과 질병’ 온라인판에 지난 1월 게재되었다.
메디컬투데이 지용준 기자 yjun89@mdtoday.co.kr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229868
'종류별 암 > 대장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9일 건대병원 ‘대장암 CLEAN 스토리-Part1. 봄이야기’ 건강강좌 (0) | 2018.03.04 |
---|---|
[스크랩] 대장암 경험자 흡연 가능성 일반인 3배 (0) | 2018.02.27 |
[스크랩] 순천향대부천병원 신응진 병원장 "현미찹쌀 우린 물 마시고, 내시경 검사 철저히 합니다" (0) | 2018.02.14 |
[스크랩] 대장암 수술 후 퇴원은 언제할까? 대장암 진단·치료의 모든 것 (0) | 2018.02.04 |
[스크랩] 대장암이 생기는 원인은 (0) | 2018.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