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의료진이 위암 수술 후 S-1 경구 항암제 경구복용 시 눈물흘림 부작용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해 주목된다.
- ▲ 분당서울대병원 김남주 안과 교수(왼쪽)와 이근욱 내과 교수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은 최근 `S-1 경구 항암제` 부작용으로 발생하는 눈물길 폐쇄의 정확한 빈도와 눈물길이 막히는 원인 및 어떤 환자에게서 해당 부작용이 많이 발생하는지 등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고 10일 전했다.
TS-1이라고도 불리는 S-1 경구용 항암제는 일본에서 개발돼 국내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항암 치료제로 위암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암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이를 복용하는 환자들 중의 일부에서 눈물길이 폐쇄돼 눈물을 흘리는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기존에 보고된 바, 이는 통상적인 항암제의 부작용 중 잘 알려지지 않은 부작용 중 하나라는 분당서울대병원의 설명이다.
이에 착안해 분당서울대병원 안과 김남주 교수와 내과 이근욱 교수팀은 지난 2010년 12월부터 2013년 6월까지 S-1 보조항암요법을 실시한 145명의 위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눈물과 혈액을 모아 연구·분석했다.
연구결과 S-1 항암제를 복용한 환자들 중 53명(37%)에서 눈물길 폐쇄로 인한 눈물흘림 증상이 나타났다.
또한 눈물길 폐쇄는 나이가 많을수록, 신장기능이 저하될수록, 혈액 내 S-1의 주된 항암성분인 `5-플루오로우라실(5-fluorouracil)의 함량이 높을수록 발생위험이 크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즉, 위암 수술 후 S-1 항암제를 경구 복용하는 환자 3명 중 1명이라는 높은 빈도로 눈물점 협착, 눈물소관과 코눈물관 폐쇄 등으로 인한 눈물흘림이 발생하고 특히 고령의 신장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서 눈물길 폐쇄의 발생 위험이 높다는 점이 입증돼 S-1 투여 시 정기적인 안과검사가 필요하다는 점이 확인된 것.
이와 관련 김남주 교수는 `눈물길 폐쇄는 눈물길이 막히기 시작하는 초기에 치료를 하면 안약점안이나 간단한 시술로 치료가 가능하나 완전히 막히고 나면 치료를 위해서 새로운 눈물길을 만드는 수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 때문에 고령의 위암환자는 S-1 경구 항암제를 복용할 때 눈물흘림 증상이 생기는지 면밀히 관찰하고 증상이 발생하면 조기에 안과를 찾아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암학회/대한종양내과학회 국제학술지 최신호에 게재됐다.
한편, 눈물이 흐르는 증상의 경우 시력과는 무관하지만 시야를 흐리게 하고 눈곱을 동반해 눈꼬리를 짓무르게 하는 등 삶의 질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약물치료 및 경우에 따라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증상이다.
의학신문 의학신문 정윤식 기자 21hero@bosa.co.kr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197798
'종류별 암 > 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완치율 90% 위암1기 환자 미치료시 사망까지 5년 반 (0) | 2017.08.20 |
---|---|
[스크랩] 조기위암, 치료 안하면 34개월만에 진행위암으로 악화 (0) | 2017.08.20 |
[스크랩] 발견하면 3~4기, 젊은층 공격하는 위암 있다 (0) | 2017.07.26 |
[스크랩] 아주대병원, ‘위암 예방의 달’ 맞아 건강강좌 마련 (0) | 2017.07.24 |
[스크랩] 한국인에게 자주 발생하는 위암…"조기 발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해" (0) | 2017.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