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건강정보

[스크랩] 조영제와 지혈제 하나로 만든 ‘나노 접착제’ 개발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7. 7. 23.

▲조영 및 접착효과를 갖는 나노 접착제 구조와 물성(좌), 나노입자의 전자현미경 이미지와 각 물성을 이용한 대표 예시(우) (사진=기초과학연구원 제공)

▲조영 및 접착효과를 갖는 나노 접착제 구조와 물성(좌), 나노입자의 전자현미경 이미지와 각 물성을 이용한 대표 예시(우) (사진=기초과학연구원 제공)



조영제는 영상식별을 하고 지혈제는 시술시 발생하는 출혈을 막아 시술에는 조영제와 지혈제가 반드시 수반된다. 국내 연구진이 이 두 가지 역할을 하는 접착제 개발에 성공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 현택환 단장과 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김효철 교수·국민대신소재공학부 이노현 교수 연구진은 조영제와 지혈제 두 가지 역할을 하는 '나노 접착제'를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나노 접착제는 기존 접착제보다 독성은 현저히 낮고, 미량으로도 상처 부위를 완벽하게봉합할 수 있는 물질이다. 이러한 제작법을 응용해 다양한 물질로 나노입자 접착제를 만들면 활용범위를 손상 조직 접합, 외상 후 출혈 지혈 등으로 넓힐 수 있다.

소량으로도 전자파, 음파 등에 산란 효과가 탁월한 탄탈륨옥사이드에 접착성이 우수한 실리카 나노입자를 입히면 생체적합도가 높은 나노 접착제가 된다.

연구팀은 동물실험으로 효과를 확인했다. 토끼를 대상으로 혈관이 많고 지혈이 어려운 간 조직에 상처를 가하고 나노 접착제를 동반한 시술을 성공했으며, 폐암에 걸린 실험쥐의 암 조직을 표지해 방사선 치료와 선택적 제거수술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연구를 주도한 현택환 단장은 "기존 합성고분자 접착제를 뛰어넘는 나노 접착제를 개발해 다양한 시술과 치료에 활용이 될 것"이라며 "매우 적은 양으로도 조영효과가 뛰어나고, 조직 내 접착성질이 우수해시술 전 종양 표지 혹은 방사선 치료를 위한 표지물질로도 활용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 연구단의 주도로 한국연구재단의 '신진연구자지원사업', '해외우수연구기관 유치사업' 및 해양수산부 주관 '해양융복합 바이오닉스 소재 상용화 기술 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한편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19일자에 게재됐다.


메디컬투데이 손성우 기자 mipi306@mdtoday.co.kr

  • * Copyright ⓒ 메디컬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195304

  •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