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근원이자 한 가정의 행복인 여성이 자궁경부암으로 삶이 빼앗기고 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불규칙한 출혈이 계속되던 26세의 미혼여성이 병원을 찾아왔다. 검사 결과자궁경부암 2기였던 것, 암이 한창 진행된 상태에서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행해 환자의 생명을 구할수 있었지만, 그 여성은 자궁을 적출했다.
자궁경부암이란 대표적인 여성 암 으로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이다. 전 세계에서 여성 암 중 2위를 기록했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지난 2010년 기준 국가 암 등록 통계에서 자궁경부암은 15~34세 연령대에서 갑상선, 유방암에 이어 3번째로 많이 발생했다.
35~64세 연령대에서는 갑상선, 유방, 위, 대장에 이어 5번째 순서로서 50세 전후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던 자궁경부암의 발생 연령이 20~30대 연령으로 크게 낮아졌다.
발병 원인은 인유두종바이러스 (HPV)이다. 발병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어 생리 이외 출혈이나 통증이 생겨 병원을 찾게 될 경우 이미 많이 진행된 경우가 많았다.
이 밖에도 연령, 인종, 성행위, 흡연, 경구피임약의 장기 복용 등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특히, 성교 상대자의 특성에 의해 발생할 확률도 있었다.
증상은 대부분 성교 후 경미한 질 출혈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 이후 처음에는 피가 묻어 나오는 정도이지만 암이 진행되면 출혈 및 질 분비물이 증가한다.
또한, 암이 진행하여 주변 장기인 직장이나 방광, 요관, 골반 벽, 좌골 신경 등을 침범하게 되면 배뇨 곤란과 혈뇨, 직장출혈, 허리통증, 하지의 동통 및 부종, 체중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났다.
치료는 수술적 치료와 방사선 치료, 항암 화학요법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병기 2기 초까지는 광범위 전 자궁적출술 및 골반임파절 절제술이 가능하다.
전 암 또는 미세 침윤 암을 가진 젊은 여성의 경우는 자궁경부절제술로 가임기 여성의 자궁을 보존하여 임신 능력을 유지시킨다.
초기 암은 복강경 또는 로봇 수술로서 수술후 통증, 입원 기간, 수술 흉터 등 수술 후유증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서울성모병원 부임암센터장 박종섭 교수는 "여성의 몸은 생명의 근원이자 한 가정의 행복 그 자체이다"며 "여성이 건강을 잃게 되면 가정이 무너지고, 사회의 행복을 지킬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정부, 의료계와 사회 주도층에서는 자궁경부암 예방, 조기 발견을 위한 노력을 요구한다"고 전했다.
메디컬투데이 지용준 기자 yjun89@mdtoday.co.kr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185950
'종류별 암 > 여성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난소암 새로운 표적치료제 소규모 임상시험 결과 성공적 (0) | 2017.06.04 |
---|---|
[스크랩] 난소암 표적약 ‘아바스틴’, 새 적응증 확보 (0) | 2017.05.24 |
[스크랩] 난소암 예방 위해선, 양측난관절제술이 효과적 (0) | 2017.05.16 |
[스크랩] 난소암 70% 전이돼서 발견… 폐경 여성도 정기검진 필수 (0) | 2017.05.04 |
[스크랩] 젊은 여성 ‘난소종양’ 증가 추세…10명 중 1명 25세 미만 (0) | 2017.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