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취 두통'에 진통제 복용 위험
![약 먹고 있는 모습 클로즈업](http://health.chosun.com/site/data/img_dir/2017/03/30/2017033001914_0.jpg)
진통제(해열진통소염제)가 2년 연속(2015~2016년) 국내에서 부작용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약으로 꼽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2016년) 발생한 국내 의약품 부작용 건수 22만8939건 중 진통제가 3만1104건(13.6%)으로 가장 많았다. 항악성종양제(2만1348건·9.3%), 항생제(1만8441건·8.1%), X선 조영제(1만8240건·8%), 합성마약(1만7755건·7.8%)이 그 뒤를 이었다. 2015년에도 진통제 부작용이 13.9%(2만7538건)로 가장 많았다.
◇'안전한 약'이라는 인식, 오남용 빈번
진통제는 처방전 없이도 약국이나 편의점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 안전한 약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때문에 뚜렷한 증상이 없이 약간의 통증만 생겨도 쉽게 복용, 과도한 양을 섭취할 위험도 있다. 미국독극물통제센터협회에 따르면, 2011년 약물 과다 복용 환자 123만명 중 30.8%가 진통제 과다복용이 원인이었다. 약물 과다 복용으로 사망한 사람의 11.2% 역시 진통제 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이 원인으로 작용했다. 아세트아미노펜은 타이레놀의 주성분이다.
![진통제 종류별 특징 표](http://health.chosun.com/site/data/img_dir/2017/03/30/2017033001914_1.jpg)
◇위(胃)·간(肝) 약한 사람 복용 주의
진통제는 종류에 따라 부작용도 달라 자신의 몸 컨디션에 맞게 구별해 복용해야 한다. 진통제는 크게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으로 된 '해열진통제'와 이부프로펜·아스피린 등의 비스테로이드 성분으로 된 '소염진통제'로 나뉜다. 해열진통제는 통증 완화·해열 효과가 있고, 소염진통제는 이 두 가지 효과 외에 염증을 없애는 작용까지 한다. 그런데 해열진통제는 주로 간에서 분해돼 간 질환이 있는 사람은 피하는 게 안전하다. 특히 숙취로 인한 두통이 생겼을 때 무심코 해열진통제를 복용해서는 안 된다. 알코올은 간에서 나오는 특정 효소(CYP 2E1)에 의해 체내에서 분해된다. 그런데 알코올을 자주 섭취하는 사람은 이 효소가 과하게 생성되는 경향이 있다. 문제는 진통제 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 역시 이 효소에 의해 대사가 되면서 독성물질인 NAPQI을 생성하고, 이 물질이 간세포를 파괴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알코올을 지속적으로 섭취하는 사람은 보통 용량의 진통제를 복용해도 간독성이 나타날 수 있다.
소염진통제는 위장관을 손상시킬 수 있다. 소염진통제는 통증을 전달하는 효소의 활동을 막는데, 이 효소가 위점막을 보호하는 기능을 같이 해 위장관 보호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다. 두 달 이상 소염진통제를 먹은 환자 1200명 중 1명이 위출혈로 사망했다는 영국의 연구결과가 있다.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부작용 피해 구제
약을 먹고 피해를 입은 사람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 피해구제 신청을 하면 된다.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홈페이지에서 '부작용 피해구제급여 지급 신청서'를 다운받아 작성하고 진단서 등 부작용 피해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와 함께 우편으로 보내거나 방문해 제출하면 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그 밖의 약 부작용을 발견하면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이나 전국 ’지역의약품안전센터‘에 전화, 서면, 인터넷 등으로 보고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3/30/2017033002016.html
'일반 건강상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봄이 무서워요~ 만성알레르기비염 다스리기 (0) | 2017.04.06 |
---|---|
[스크랩] 독성 강한 잇몸 세균, 혈관 타고 온몸 돌며 癌·성기능장애 유발 (0) | 2017.04.06 |
[스크랩] [카드뉴스] 치약, 아무거나 쓰지 마세요 (0) | 2017.04.03 |
[스크랩] 음악이 주는 건강효과 5가지.. (0) | 2017.04.03 |
[스크랩] 두통, 종류에 따라 효과 보는 약 따로 있다 (0) | 2017.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