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가버섯 추출액 만드는 방법
[차가버섯 추출액]을 만드는 방법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저온 추출 방법]과 [고온 추출 방법] 입니다.
집에서 차가버섯 추출액을 만들 경우 [저온 추출 방법]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저온 추출 방법]
(1) 칼등을 이용하여 까맣고 단단한 껍질부분, 뿌리부분 기타 불순물을 깨끗하게 제거한다 .
( 사진 참조 )
(2) 차가버섯을 신속히 깨끗하게 씻는다.
(3) 끓인 물을 50°C ~ 60 °C 정도 되게 식혀서 버섯이 잠기게 붓는다.
(4) 4 ~ 5 시간 기다린다.
( 4 ~ 5 시간이 지나면 단단한 버섯이 물을 먹어서 조금 부드럽게 된다 )
(5) 차가버섯을 건져서 믹서나 분쇄기를 이용하여 아주 잘게 부순다.
(6) 잘게 부순 차가버섯에 (3)번의 물과 ( 끓여서 50°C~ 60°C로 식힌 ) 다른 물을 붓는다.
( 차가버섯 200g 에 물 2,000cc를 넣어야 한다. )
(7) 상온에 48 시간 둔다.
(8) 48시간이 지난 다음 약 보자기에 짠다.
(9) 물을 짠 차가 버섯 찌꺼기는 버린다.
(10) 이 물은 3~4일 유효하다.( 냉장고나 덥지 않은 곳에 보관 )
차가 버섯 액을 만들 때 버섯에 붓는 물의 온도가 60 °C를 넘으면 안되며 물은
반드시 끓여서 식혀야 합니다. 물을 끓여야 물 안의 불필요한 성분( 효소 , 용존 산소 등)이
제거됩니다.
하루에 600cc 이상의 차가버섯 추출액을 마셔야 합니다 ( 3번에 걸쳐서 식전 30분에 복용). 1회에 200g 의 차가버섯으로 2,000cc의 차가버섯 추출액을 만들어 3일 간 복용하거나 300g 의 차가버섯으로 차가버섯 추출액 3,000cc를 만들어 4일간 복용해야 합니다. 차가버섯 추출액은 4일이 지나면 유효 성분의 산화 현상 등으로 효력이 급속히 떨어집니다.
한달에 2kg 이상의 차가버섯(차가버섯 추출 액 20,000cc 이상 < 20리터 이상> )을 복용해야 좋은 효과가 있습니다.
|
차가버섯 가루를 이용하여 차가버섯 추출액을 만들 때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1) 차가버섯 가루를 그릇에 담고 가루가 잠길 정도로 따끈한 물(60 °C)을 붓고 4 ~ 5 시간 기다린다.
(2) 4 ~ 5 시간 뒤에 다시 (차가버섯 가루 100g에 물 1,000 cc의 비율) 따끈한 물을 붓고 48 시간 동안 상온에서 추출한 다음 약보자기로 짜서 복용하면 됩니다.
버섯은 인체의 온도 보다 2 ~ 5 °C 높은 상태에서 유효성분의 추출이 잘됩니다. 여기서 두 번에 걸쳐 60 °C의 따끈한 물을 부어 주는 것은 버섯으로 하여금 자신의 유효 성분을 쉽고 많이 배출하게 준비를 시키는 것입니다.
|
차가버섯의 복용량
건강한 사람이 미래에 올 수 있는 병에 대비하여 혹은 가족 중에 암이나 당뇨 경력 있어서 예방 차원에서 복용할 경우 각자 알아서 복용량을 선택하십시요.
그러나 질병이 있어서 차가버섯을 복용할 경우 위의 복용량을 꼭 지키십시요.
질병이 상당히 호전되면 그때 복용량을 조정 할 수 있습니다. 체질에 따라 조금 다르지만 그 기간이 3개월에서 6개월 정도입니다.
|
특별한 병이 없이 건강을 위하여 혹은 예방 차원에서 차가버섯 액을 드시는 분은
차가버섯 100g으로 2,000 ~ 3,000 cc정도의 차가버섯 액을 만들어 하루에 300 cc
정도를 장기간 복용 해도 좋습니다.
이 경우는 10일 정도 냉장고에 보관해도 좋습니다.
( 물론 새로운 추출물을 자주 만들어 마시면 더 좋습니다.)
[고온 추출 방법]
항온기를 이용하여 70 °C 에서 5시간 우려내도 [저온 추출 방법]과 같은 성분의 차가버섯
추출액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온도에 조심해야 하고 시간을 정확히 지켜야 합니다.
'차가버섯 관련 글 > 차가버섯 추출분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차가버섯 추출분말의 항암, 항궤양 효과에 대한 연구 (0) | 2016.05.23 |
---|---|
[스크랩] 재탕 - 산화 스트레스 (0) | 2016.05.09 |
[스크랩] 차가버섯 엑기스 3 (0) | 2016.05.04 |
[스크랩] 차가버섯 엑기스 2 (0) | 2016.05.04 |
고부내 차가버섯추출분말 복용방법 (0) | 2016.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