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소세포성 폐암 3기 환자의 경우 수술 후에 방사선 치료를 먼저 하고 나중에 항암화학요법을 하는 것이 생존율을 크게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주대학교병원 폐암센터팀 이현우·노오규 교수가 지난 2002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13년 동안 아주대병원에서 수술 후 방사선과 보조적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받은 비소세포성 폐암 3기 환자 105명을 대상으로 치료성적과 예후인자를 분석했다. 그 결과, 비소세포성 폐암 3기 환자의 경우 방사선 치료를 먼저 한 후에 항암화학요법을 시도했을 때 생존율이 높았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105명 환자의 5년 생존율은 40.2%이었으며, 이중 수술 후 방사선치료만 받은 62명의 5년 생존율은 29.2%, 방사선치료와 보조적 항암화학요법을 모두 받은 43명의 5년 생존율은 61.3%였다. 이는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먼저 하고 방사선 치료를 나중에 한 다른 연구들에서 환자의 5년 생존율이 40% 내지 47% 정도로 보고되는 것과 비교할 때 61.3%는 매우 우수한 성적이다.
노오규 교수(방사선종양학과)는 “이번 연구는 3기 비소세포성 폐암의 재발을 막는 보조적 치료의 순서를 정하는 데에서 방사선 치료를 먼저 했던 아주대병원 폐암센터팀의 치료 전략이 매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연구결과가 국제 학술지에 발표된 것은 아주대병원의 폐암치료, 즉 진단과 수술,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를 아우르는 다학제적 치료성적이 국제적으로도 우수하다는 사실을 인정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의 권위 있는 방사선종양학회 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Oncology and Physics (IF=4.252)에 ‘비소세포성 폐암 3기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 후 항암화학요법 투여 전략’으로 게재됐다.
☞폐암이란 폐에서 일차적으로 발생한 악성 종양으로, 현미경적으로 암세포의 크기와 형태 등에 따라 비소세포 폐암과 소세포 폐암으로 구분한다. 폐암 중 약 85% 이상은 비소세포 폐암이고, 비소세포 폐암의 치료는 병기에 따라 주로 3기A까지는 수술적 치료, 3기A 일부와 3기B는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 병용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4기 혹은 재발한 경우는 대부분 항암화학요법이 기본적인 치료가 된다. 2013년 국내에서 2만3177명의 새로운 폐암환자가 발생하여 넷째로 흔한 암이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25/2016032501071.html
'종류별 암 > 폐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폐암의 10가지 증상’ (0) | 2016.04.03 |
---|---|
[스크랩] 말기 폐암환자 생존기간~~ (0) | 2016.04.03 |
[스크랩] 폐암에 도움되는 좋은 음식 10가지 (0) | 2016.03.03 |
[스크랩] "면역항암제 이용, 언젠가는 폐암도 완치될 수 있을 것" (0) | 2016.02.29 |
[스크랩] `사망률 1위` 폐암, 생존율 높이는 신약 속속 개발 (0) | 2016.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