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일반 건강상식

[스크랩] "콧속 상피조직 떼어내 치매 조기 진단 가능"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6. 3. 13.

치매를 치매전단계(경도인지장애)부터 정확히 알아낼 수 있는 진단법이 개발됐다.

서울대병원 신경과 주건·김만호 교수팀은 코 상피세포 내 마이크로RNA-206(mir-206)라는 것이 발현되는 양으로 치매를 진단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건강자원자, 우울증환자, 치매전단계, 치매환자 등 4개 그룹으로 나눠 조사했는데, 콧속의 mir-206 발현양이 치매전단계는 정상인에 비해 7.8배, 치매 환자들은 41.5배였다. 반면, 우울증 환자들은 기억력이 저하되어 있음에도 mir-206 발현양은 정상인과 같게 나와 치매와는 뚜렷하게 구별됐다.

알츠하이머 병 초기에 제일 먼저 나타나는 증상은 냄새를 구별 못하는 것이다. 이는 냄새를 뇌로 전달하는 후각신경계에 병리변화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 사실에 착안해, 치매와 치매전단계 환자를 조기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낸 것이다.

주건 교수는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치매검진에 드는 엄청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며 “기억력이 떨어지는 환자들도 본인이 치매로 진행될 것인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도와준다”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발명한 치매약물인 ‘mir-206 억제제’를 치매환자에게 투여하는 임상시험을 계획 중이다.

한편, 이 연구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내벤처기업인 주식회사 어드밴스드엔티와 함께 진행됐으며, 최근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리포트(Scientific report)에 발표됐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09/2016030902538.html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