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제형별 특징과 효과
'국소 작용' 흡입제, 부작용 줄여… 필름제, 물 없이 간편하게 복용
![약 제형별 특징과 효과](http://health.chosun.com/site/data/img_dir/2016/03/08/2016030802404_0.jpg)
약의 제형(劑形)이 다양해지고 있다. 정제(錠劑)나 액제(液劑) 뿐 아니라, 최근에는 몸에 붙이면 약효가 나타나는 패치제, 필름 형태로 입에 넣어 녹여서 복용하는 필름제, 차(茶)처럼 물에 타서 먹는 산제(散劑) 등 다양한 제형이 등장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약무정보팀 최경숙 팀장은 "각각의 제형은 약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므로 자신에게 필요한 제형을 적절히 고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작용 부위 따라 제형 달라
약은 치료 효과를 최대한 높이기 위해 각기 다른 제형으로 만든다. 혈액을 통해 전신에 약효를 퍼트려야 하는 약은 정제로, 국소 부위에 작용하도록 하는 약은 분무제로 만드는 식이다. 같은 정제라고 해도 작용 부위에 따라 제형이 달라진다. 고려대 임상약리학과 박지영 교수는 "예를 들면 소화제 훼스탈에는 소화효소가 들어있는데, 소화효소는 위산에 의해 쉽게 파괴된다"며 "이 때문에 약을 위산에 녹지 않는 캡슐에 넣어서 소화효소가 장에서 녹을 수 있게 만든다"고 말했다.
약의 제형을 다양하게 하는 것은 환자의 복약 순응도(지시사항에 따라 약을 제대로 복용하는 정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도 있다. 정제의 경우 약을 원형(原形)의 상태로 복용해야 한다. 그런데 소아나 노인의 경우 큰 알약을 삼키기 어려워 알약을 쪼개거나 가루로 빻아 복용하는 경우가 있다. 동탄성심병원 약제팀 황보영 팀장은 "약이 쪼개지면 정제에 들어있는 성분이 훼손돼 약효가 줄어들기 때문에, 쉽게 복용할 수 있는 액제 등의 제형으로 만들어 환자들이 약을 올바로 복용할 수 있도록 한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약 제형별 특징
대한민국 약전(藥典)에 따르면 약 제형만 40여 종에 이른다. 대표 제형의 특징과 주의할 점을 알아본다.
▷정제=가장 기본적인 제형으로 약이 퍼지는 속도와 작용 부위에 따라 설하정(舌下錠), 장용정(腸溶錠), 서방정(徐放錠) 등으로 나뉜다. 설하정은 물 없이 혀 밑에 약을 놓으면 약효 성분이 바로 혈액으로 침투해 약 중 효과가 가장 빠르다. 이 때문에 빠른 약효가 필요한 협심증 환자 등에 도움이 된다. 장용정은 약 성분이 위(胃)가 아닌 장(腸)에서 녹아 나오도록 만든 제형으로 소화제나 유산균제 등에 쓰인다. 서방정은 말 그대로 '서서히 방출돼 나오는 약'으로 약 표면이 잘 녹지 않는 특수한 재질의 껍질로 만들어져있다. 서방정은 약 한 알로도 장시간 약효를 볼 수 있어, 혈압·혈당 조절을 위해 매일 약을 복용해야하는 만성질환자들의 복용 편의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약이 파손되면 내용물이 한꺼번에 많이 방출돼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액제=알약이나 가루약의 복용이 어려운 어린이 약에 많이 사용된다. 아이들의 복용 거부감을 줄이기 위해 첨가제를 넣기도 한다. 액제 중 완전히 투명한 약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현탁액'이다. 현탁액은 액제 속 성분이 완전히 녹아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오랜시간 세워놓으면 약 성분이 바닥에 가라앉게 된다. 약을 먹기 전, 충분히 흔들어서 먹어야 한다.
▷흡입제·분무제=주로 호흡기 질환 치료제에 사용되는 제형으로 입자가 작은 액체로 된 약제가 기도나 폐를 통해 바로 흡수되도록 한다. 스테로이드제와 같이 전신에 작용했을 때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의 경우 흡입제나 분무제를 사용하면 약제가 특정 부위에만 작용하기 때문에 부작용 위험이 낮다. 다만 약의 용량을 조절하기 어려우므로 사용법을 충분히 교육받는 것이 중요하다.
▷필름제=필름제의 경우 따로 물을 마실 필요가 없고, 흡수가 빠르기 때문에 편의성이 높다. 다만 약이 녹는 과정에서 기도에 약이 들러붙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작용 부위 따라 제형 달라
약은 치료 효과를 최대한 높이기 위해 각기 다른 제형으로 만든다. 혈액을 통해 전신에 약효를 퍼트려야 하는 약은 정제로, 국소 부위에 작용하도록 하는 약은 분무제로 만드는 식이다. 같은 정제라고 해도 작용 부위에 따라 제형이 달라진다. 고려대 임상약리학과 박지영 교수는 "예를 들면 소화제 훼스탈에는 소화효소가 들어있는데, 소화효소는 위산에 의해 쉽게 파괴된다"며 "이 때문에 약을 위산에 녹지 않는 캡슐에 넣어서 소화효소가 장에서 녹을 수 있게 만든다"고 말했다.
약의 제형을 다양하게 하는 것은 환자의 복약 순응도(지시사항에 따라 약을 제대로 복용하는 정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도 있다. 정제의 경우 약을 원형(原形)의 상태로 복용해야 한다. 그런데 소아나 노인의 경우 큰 알약을 삼키기 어려워 알약을 쪼개거나 가루로 빻아 복용하는 경우가 있다. 동탄성심병원 약제팀 황보영 팀장은 "약이 쪼개지면 정제에 들어있는 성분이 훼손돼 약효가 줄어들기 때문에, 쉽게 복용할 수 있는 액제 등의 제형으로 만들어 환자들이 약을 올바로 복용할 수 있도록 한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약 제형별 특징
대한민국 약전(藥典)에 따르면 약 제형만 40여 종에 이른다. 대표 제형의 특징과 주의할 점을 알아본다.
▷정제=가장 기본적인 제형으로 약이 퍼지는 속도와 작용 부위에 따라 설하정(舌下錠), 장용정(腸溶錠), 서방정(徐放錠) 등으로 나뉜다. 설하정은 물 없이 혀 밑에 약을 놓으면 약효 성분이 바로 혈액으로 침투해 약 중 효과가 가장 빠르다. 이 때문에 빠른 약효가 필요한 협심증 환자 등에 도움이 된다. 장용정은 약 성분이 위(胃)가 아닌 장(腸)에서 녹아 나오도록 만든 제형으로 소화제나 유산균제 등에 쓰인다. 서방정은 말 그대로 '서서히 방출돼 나오는 약'으로 약 표면이 잘 녹지 않는 특수한 재질의 껍질로 만들어져있다. 서방정은 약 한 알로도 장시간 약효를 볼 수 있어, 혈압·혈당 조절을 위해 매일 약을 복용해야하는 만성질환자들의 복용 편의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약이 파손되면 내용물이 한꺼번에 많이 방출돼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액제=알약이나 가루약의 복용이 어려운 어린이 약에 많이 사용된다. 아이들의 복용 거부감을 줄이기 위해 첨가제를 넣기도 한다. 액제 중 완전히 투명한 약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현탁액'이다. 현탁액은 액제 속 성분이 완전히 녹아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오랜시간 세워놓으면 약 성분이 바닥에 가라앉게 된다. 약을 먹기 전, 충분히 흔들어서 먹어야 한다.
▷흡입제·분무제=주로 호흡기 질환 치료제에 사용되는 제형으로 입자가 작은 액체로 된 약제가 기도나 폐를 통해 바로 흡수되도록 한다. 스테로이드제와 같이 전신에 작용했을 때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의 경우 흡입제나 분무제를 사용하면 약제가 특정 부위에만 작용하기 때문에 부작용 위험이 낮다. 다만 약의 용량을 조절하기 어려우므로 사용법을 충분히 교육받는 것이 중요하다.
▷필름제=필름제의 경우 따로 물을 마실 필요가 없고, 흡수가 빠르기 때문에 편의성이 높다. 다만 약이 녹는 과정에서 기도에 약이 들러붙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 > 암환자를 위한 작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지난해 `선별집중심사`로 국민의료비 1134억원 절감 (0) | 2016.03.13 |
---|---|
[스크랩] 암 투병 관리 중 반드시 먹어야하는 계란 (0) | 2016.03.13 |
[스크랩] 북적이는 응급실, 중증 응급환자 응급실에서 14.0시간 머문다 (0) | 2016.03.07 |
[스크랩] 수면과 암 (0) | 2016.03.07 |
[스크랩] 운동과 명상을 병행하세요!! (0) | 2016.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