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위암 환자들의 환자별 조건부 생존율 예측 프로그램을 개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생존율은 암 수술 환자가 가장 궁금해하는 것 중 하나로 환자의 예후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다. 대부분 암전문의들은 수술 치료 후 5년이 지난 시점에서 생존해 있을 확률인 5년 생존율을 기준으로 암 생존율을 설명한다. 하지만 수술 직후와 수술 후 3년이 지난 시점에서 예측한 생존율이 다를 수 있다.
대부분 위암은 수술 후 2~3년 이내에 재발하고, 5년 이후는 드물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예측 생존율은 증가한다. 반면 조건부 생존율이란 환자가 수술 후 특정 기간을 생존했을 때 추가적으로 몇 년을 더 살 수 있는지의 확률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위암으로 사망할 위험도가 역동적으로 변하므로 특정 시점에서 환자의 생존율을 측정하는 것이다.
서울성모병원 위암팀(위장관외과) 박조현·송교영·이진원 교수팀이 1995년부터 2011년까지 서울성모병원에서 위암수술을 받은 환자 2935명을 분석한 결과, 전체생존율은 시간이 지날수록 낮아졌지만, 환자들이 1·3·5년을 생존할 경우 3년을 추가적으로 더 생존할 확률인 조건부 생존율은 각각 88.6%, 91%, 93.2%로 증가했다. 환자들을 병기별로 나눠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3기 위암 환자의 5년 전체생존율은 49.7%에 불과했지만 1·3·5년 조건부 생존율은 62.1%, 71.3%, 86.8%로 높아졌다.
또한, 고위험 환자의 대부분이 수술 후 2년 이내 재발해 사망했으므로 조건부 생존율은 특정 시점까지 생존한 경우 저위험 환자나 고위험 환자의 예후가 비슷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송교영 교수는 "이미 미국에서는 위암을 포함한 여러 암의 조건부 생존율의 유용성이 검증됐다"며 "한국은 위암 치료 성적이 좋고 장기 생존자가 많아 개인별 장기적인 예후 평가가 중요하므로 조건부 생존율을 분석한 이번 연구결과가 환자에게 유용하고 중요한 지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암 전문 잡지인 'BMC(BioMed Cancer' 2015년 12월호에 게재됐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2/19/2016021902884.html
'종류별 암 > 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위염이 위암으로 (0) | 2016.03.20 |
---|---|
[스크랩] 조기위암 내시경 치료, 수술과 효과 비슷해 (0) | 2016.02.29 |
[스크랩] 조기위암, 복강경수술이 개복수술보다 합병증 적어 (0) | 2016.02.11 |
[스크랩] "위암, 복강경수술이 개복수술보다 합병증 적다" (0) | 2016.02.01 |
[스크랩] 을지대학교 을지병원, ‘위암’ 적정성 평가 1등급 (0) | 2016.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