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관염, 불임까지 유발
어떠한 항생제를 써도 죽지 않는 임균이 우리나라에서도 발견됐다. 임균은 성관계에 의해 전염되며, 임질이라는 병을 유발한다. 임질은 여성에게 자궁내막염, 난관염, 골반감염부터 불임까지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한다.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경원 교수팀은 관동대의대 진단검사의학과 이혁민 교수와 함께 2011년 부터 2013년 사이에 우리나라 남녀 임질환자 210명(남성 136명, 여성 47명)으로부터 배양한 임균의 내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배양된 임균 가운데 19주가 현재 사용되는 치료항균제 가운데 가장 강력한 ‘세팔로스포린계열’ 에 내성 균주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세팔로스포린계열 중 세프트리악손(Ceftriaxone)에 3%(7주), 세포독심(Cefpodoxime)에 8%(17주), 세픽심(Cefixime)에 9%(19주)의 내성균주 비율을 보였다. 특히, 내성 균주 19주 중에 4주는 지난 2011년에 일본에서 보고된 고도 내성 균주와 유전형이 연관돼있었으며, 임균 치료의 마지막 보루인 세프트리악손에 대한 고도내성 임균으로 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국내 임질 환자는 연간 3만5000여명 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는데, 생식기질환이라는 특수성 탓에 실제로는 환자 수가 이보다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임질은 발병 여성의 절반과 일부 남성에게서는 감염 증세가 안 나타난다. 남성의 경우, 배뇨 시 따끔한 느낌이 있는 요도염이 가장 흔한 증상이며 배뇨통과 함께 고름과 같은 농액이 요도를 통해 배출된다. 여성은 자궁경부염의 형태로 발전해 농액 분비물이 보이고 배뇨통과 빈뇨 및 긴박뇨 증상이 생긴다.
치료를 위해서는 항균제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지만 항균제 내성 임균의 증가로 미국은 2013년에 다제내성 임균을 ‘긴급한 조치가 필요한 내성균 3종 중 한 가지’로 지정했으며, 일본은 이미 2011년 세프트리악손 내성 임균 발생을 보고했다.
국내에서는 2000년 초반부터 대부분의 임균에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페니실린, 테트라사이클린 및 퀴놀론 항균제에 내성을 보였고, 이에 따라 보다 강력한 항균제인 세팔로스포린계열 항균제로 치료 받는 환자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여 2012년에는 전체 환자의 47%에 달했다.
이경원 교수는 “광범위 세팔로스포린에 내성을 가진 임균이 우리나라에도 출현해 확산을 시작하려는 단계에 놓여있다"며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도 중요하지만, 세팔로스포린 내성 임균이 확산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관리와 감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항균화학요법저널(Journal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에 최근 게재됐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2/22/2015122201287.html
'일반 건강상식 > 일반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30분안에 행복해지는 방법.. (0) | 2015.12.27 |
---|---|
[스크랩] 파스 (0) | 2015.12.27 |
[스크랩] 저체온증·한랭두드러기 주의보…대처법은? (0) | 2015.12.23 |
[스크랩] 흡연 여성, 불임·조기 폐경 위험 커 (0) | 2015.12.23 |
[스크랩] 뇌, 알코올을 독성으로 인식… 배출 위해 구토 유발 (0) | 2015.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