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담도·췌장암센터
난도 높은 내시경검사… 실시간으로 암 진단 가능

암 환자의 평균 5년 생존율이 70%에 육박하는 지금도 5년 생존율이 한 자릿수(8.8%)에 머물고 있는 무서운 암이 있다. 바로 췌장암이다. 췌장 바로 옆에 생기는 담도암의 5년 생존율도 26.7%로 낮은 편이다. 두 암은 우리 몸 깊숙한 곳에 생겨 수술이 어려울 뿐 아니라 제대로 발견하기도 쉽지 않다. 체중 감소와 식욕부진, 피로감, 황달, 가족력이 없는 당뇨 증세 등이 나타나면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야 하는 이유다. 서울아산병원은 고난도 내시경 기법으로 췌장암과 담도암(이하 췌담도암)을 정확히 찾아낸다. 지난해 국내에서 가장 많은 900여 건의 췌담도암 수술을 진행해 국내 '췌담도암 수술의 메카'로 자리잡았다.
◇췌담도 내시경, 국내 최다 진행
서울아산병원은 췌장이나 담관에 내시경을 넣어 즉시 조직 검사를 실시, 암을 진단하는 등의 고난도 내시경 검사를 한다. 대표적인 게 '내시경 역행 췌담관 조영술'과 '내시경 초음파'다. 서울아산병원은 이 두 검사를 1년에 각각 5000건, 3000건 이상 실시하는데, 이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건수다. 내시경 역행 췌담관 조영술은 십이지장에서 췌장과 담관 쪽으로 나있는 구멍(유두부·乳頭部)으로 내시경을 넣어 살피는 검사법이다. 그 자리에서 조직 검사가 가능하고, 담석이 있으면 바로 제거할 수도 있다. 담도가 막힌 경우에는 스텐트(금속 그물망) 등을 삽입해 담즙이 원활히 배출되게 한다. 내시경 초음파는 위까지 초음파 기기를 삽입, 췌담도에 음파를 전달해 얻은 사진으로 손상 부위를 살핀다. 이 역시 그 자리에서 조직 검사가 가능해 바로 암을 진단할 수 있다. 서울아산병원 암병원 담도·췌장암센터 이성구 센터장은 "같은 내시경 검사를 해도 숙련도에 따라 검사의 정확성 여부가 달라진다"며 "서울아산병원은 국내에서 가장 많이 췌담도 내시경 검사를 한 경험을 바탕으로 암 발생 여부를 확실히 알아낸다"고 말했다.
◇복강경으로 수술해 흉터 적고 회복 빨라
췌담도암은 몸 깊숙이 위치한데다 가까이 있는 장기가 많아 수술이 복잡하다. 서울아산병원 암병원 담도·췌장암센터 김송철 교수는 "특히 췌장암 머리 쪽에 생긴 암은 옆에 있는 위장과 십이지장도 일부 절제해야 하기 때문에 더 떼내기 어렵다"고 말했다. 서울아산병원은 이처럼 난도가 높은 췌담도암 수술을 복강경으로 진행한다. 복강경 췌담도암 수술은 배를 절개하는 대신 1㎝ 미만의 구멍을 다섯 개 뚫고 기기를 넣어 암을 떼내는 것이다. 개복술과 5년 생존율은 비슷하지만 회복 속도가 빠르고 흉터가 적게 남아 환자의 만족도가 크다. 김송철 교수팀은 2007년부터 현재까지 복강경 췌담도암 수술을 1000건 이상 진행했는데, 이는 세계 최다 수준이다.
췌담도암을 떼낼 때는 보통 위의 유문(幽門·위에서 소화가 안 된 음식이 십이지장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조절하는 괄약근)이 함께 잘린다. 서울아산병원은 위유문이 잘리지 않게 하는 '위유문 보존 췌십이지장 절제술'을 시도한다. 위유문이 보존되면 수술 후 체중이 급격히 감소하거나 어지러움·설사가 생기는 부작용이 줄어든다. 김송철 교수는 "위유문을 보존하는 췌담도암 수술은 7~9시간이 걸리지만, 장점이 많아 우리는 적극적으로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췌담도 내시경, 국내 최다 진행
서울아산병원은 췌장이나 담관에 내시경을 넣어 즉시 조직 검사를 실시, 암을 진단하는 등의 고난도 내시경 검사를 한다. 대표적인 게 '내시경 역행 췌담관 조영술'과 '내시경 초음파'다. 서울아산병원은 이 두 검사를 1년에 각각 5000건, 3000건 이상 실시하는데, 이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건수다. 내시경 역행 췌담관 조영술은 십이지장에서 췌장과 담관 쪽으로 나있는 구멍(유두부·乳頭部)으로 내시경을 넣어 살피는 검사법이다. 그 자리에서 조직 검사가 가능하고, 담석이 있으면 바로 제거할 수도 있다. 담도가 막힌 경우에는 스텐트(금속 그물망) 등을 삽입해 담즙이 원활히 배출되게 한다. 내시경 초음파는 위까지 초음파 기기를 삽입, 췌담도에 음파를 전달해 얻은 사진으로 손상 부위를 살핀다. 이 역시 그 자리에서 조직 검사가 가능해 바로 암을 진단할 수 있다. 서울아산병원 암병원 담도·췌장암센터 이성구 센터장은 "같은 내시경 검사를 해도 숙련도에 따라 검사의 정확성 여부가 달라진다"며 "서울아산병원은 국내에서 가장 많이 췌담도 내시경 검사를 한 경험을 바탕으로 암 발생 여부를 확실히 알아낸다"고 말했다.
◇복강경으로 수술해 흉터 적고 회복 빨라
췌담도암은 몸 깊숙이 위치한데다 가까이 있는 장기가 많아 수술이 복잡하다. 서울아산병원 암병원 담도·췌장암센터 김송철 교수는 "특히 췌장암 머리 쪽에 생긴 암은 옆에 있는 위장과 십이지장도 일부 절제해야 하기 때문에 더 떼내기 어렵다"고 말했다. 서울아산병원은 이처럼 난도가 높은 췌담도암 수술을 복강경으로 진행한다. 복강경 췌담도암 수술은 배를 절개하는 대신 1㎝ 미만의 구멍을 다섯 개 뚫고 기기를 넣어 암을 떼내는 것이다. 개복술과 5년 생존율은 비슷하지만 회복 속도가 빠르고 흉터가 적게 남아 환자의 만족도가 크다. 김송철 교수팀은 2007년부터 현재까지 복강경 췌담도암 수술을 1000건 이상 진행했는데, 이는 세계 최다 수준이다.
췌담도암을 떼낼 때는 보통 위의 유문(幽門·위에서 소화가 안 된 음식이 십이지장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조절하는 괄약근)이 함께 잘린다. 서울아산병원은 위유문이 잘리지 않게 하는 '위유문 보존 췌십이지장 절제술'을 시도한다. 위유문이 보존되면 수술 후 체중이 급격히 감소하거나 어지러움·설사가 생기는 부작용이 줄어든다. 김송철 교수는 "위유문을 보존하는 췌담도암 수술은 7~9시간이 걸리지만, 장점이 많아 우리는 적극적으로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
'종류별 암 > 췌장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췌장암에 대하여 전반적인 개요 (0) | 2016.01.12 |
---|---|
[스크랩] ‘난공불락’ 췌장암, 치료 희망 갖고 새해를 맞이하길 (0) | 2015.12.27 |
[스크랩] [5분 건강톡톡] 걸리면 죽는다? 췌장암의 진실 (0) | 2015.12.10 |
[스크랩] 최저 생존율의 췌장암, 2개월 생존 기간 연장의 의미[전문의 칼럼/최혜진 교수] (0) | 2015.12.06 |
[스크랩] 췌장암말기증상 (0) | 2015.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