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심장학회 학회지 발표
당뇨병을 10년 이상 앓으면 흉통이 없어도 심각한 심뇌혈관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당뇨병이 심혈관 질환 발생·사망률을 2~4배 높인다는 사실은 알려졌지만, 심혈관 질환 증상이 전혀 없는 당뇨병 환자를 따로 검사해 동맥경화 정도를 살펴 둘 간의 연관성을 증명한 연구는 처음이다.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장기육·내분비내과 조재형 교수, 성바오로병원 순환기내과 김진진 교수팀이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성모병원을 찾은 31세 이상 무증상 제2형 당뇨병 환자 933명을 관상동맥CT로 검사한 결과, 40%인 374명은 관상동맥 내 50% 이상 협착이 한 군데 이상 있었다.
당뇨병을 10년 이상 앓은 환자 517명 중에는 49.1%인 254명이 관상동맥 내 50% 이상 협착이 진행됐다. 관상동맥 혈관이 세 군데 이상 막힌 환자는 64명인 12.4%로, 5년 미만 환자 중 14명인 6.1%보다 높아, 유병 기간 길수록 심혈관 질환 발병률도 높고 여러 군데 혈관이 좁아져 있었다.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우리나라 당뇨병 유병률은 2001년 8.6%에서 2010년 10.1%로 증가하여 국민 10명 중 1명이 당뇨병 환자다. 당뇨병은 췌장 베타세포가 파괴돼 인슐린이 전혀 나오지 않는 제1형과, 인슐린은 분비되지만 충분하지 않은 제2형으로 나뉘는데, 당뇨병 환자의 약 95%는 제2형에 속한다.
장기육 교수는 “그동안은 당뇨환자가 특별한 증상을 느끼지 못하면 관상동맥질환 검사를 권장하지 않았으나, 당뇨 유병기간이 길면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뇌혈관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은 만큼, 당뇨병을 10년 이상 앓고 있다면 예방을 위해 관상동맥질환 검사를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유럽심장학회 심혈관영상 학회지 6월호에 발표됐다.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우리나라 당뇨병 유병률은 2001년 8.6%에서 2010년 10.1%로 증가하여 국민 10명 중 1명이 당뇨병 환자다. 당뇨병은 췌장 베타세포가 파괴돼 인슐린이 전혀 나오지 않는 제1형과, 인슐린은 분비되지만 충분하지 않은 제2형으로 나뉘는데, 당뇨병 환자의 약 95%는 제2형에 속한다.
장기육 교수는 “그동안은 당뇨환자가 특별한 증상을 느끼지 못하면 관상동맥질환 검사를 권장하지 않았으나, 당뇨 유병기간이 길면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뇌혈관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은 만큼, 당뇨병을 10년 이상 앓고 있다면 예방을 위해 관상동맥질환 검사를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유럽심장학회 심혈관영상 학회지 6월호에 발표됐다.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
'질병 > 당뇨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당뇨병성 망막병증, 70代 이상에서 급증 (0) | 2015.11.04 |
---|---|
[스크랩] 당뇨발 5년 내 사망률, 대장암보다 높다 (0) | 2015.10.29 |
[스크랩] 당뇨병 한 끼에 세 숟갈 줄이고 근육운동 꼭 해라 (0) | 2015.10.22 |
[스크랩] 한국인 당뇨병 특징 "비만 많고, 당뇨병 사실 잘 몰라" (0) | 2015.10.22 |
[스크랩] 당뇨병에 대해 당신이 모르는 것. (펌) (0) | 2015.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