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양과 혈당
음식 중에는 섭취 후 혈당을 급속히 높이는 종류가 있고 서서히 높이는 종류가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양의 당을 만들어 내는 재료가 있고 작은 양의 당을 만들어 내는 재료가 있습니다.
종양은 당(糖)만 먹고 삽니다. 그리고 먹을 게 있으면 다 먹어치웁니다. 종양은 당으로부터 에너지를 얻는 과정이 불완전해서 얻을 수 있는 에너지의 반 정도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불완전 연소시켜 독성물질로 만들어 인체 특히 간을 괴롭힙니다.
정상적인 세포도 당을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지만, 필요하면 단백질, 지방 등에서도 생존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백미 밥을 먹으면 식후 1 시간 정도에 혈당치가 최대로 되었다가 바로 정상 이하로 내려갑니다. 현미밥을 먹으면 약한 혈당 피크 현상이 나타나고 다음 식사 때까지 혈당 수치가 거의 일정합니다.
종양세포는 있으면 있는 대로 다 먹어치우는 생물학적 본능이 있고, 정상세포는 필요한 양만 받아드리고 나머지는 인체에 비축합니다.
혈당피크 현상이 강하고 빠르게 나타내는 음식을 섭취하면 하루에 몇 번 씩 종양세포는 먹이를 실컷 먹게 되고, 먹는 만치 성장합니다. 그리고 종양피크현상이 강할수록 췌장에서는 단기간에 인슐린을 많아 만들어야 합니다. 문제는 췌장에서 만들어 내는 인슐린은 담즙 같이 저장했다가 분비하는 것이 아니고 그때그때 생산합니다. 혈당피크가 지나고 인슐린이 분비되게 됩니다. 그 사이 종양세포는 이미 먹이를 먹을 만치 먹었고, 췌장은 능력이상으로 인슐린을 만드느라 고생을 많이 하게 되고 그 결과 인체의 체력을 끌어다가 피로회복에 사용하고, 대량 분비된 인슐린에 의해 인체는 저혈당 상태가 됩니다.
암세포는 먹이를 실컷 먹고, 독성물질도 많이 분비해 놓고, 마구 성장하고 있는데 하루 종일 일정한 양의 당을 사용하는 정상세포는 에너지가 모자라게 됩니다.
혈당피크가 약하고 당으로 변환이 느린 음식을 먹으면 혈액 내 당이 정상치 범위 내에서 약간 낮은 상태로 거의 일정합니다. 종양세포가 먹이를 마음대로 먹지 못하게 됩니다. 이 정도 양의 당에서는 종양세포가 성장하고 살아가는 데 충분한 먹이를 공급 받지 못합니다. 정상세포는 필요한 당을 계속 공급 받을 수 있어서 체력이 향상되고 췌장도 무리하지 않게 되고 다른 곳에서 체력을 끌어다가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됩니다.
인슐린을 주사로 주입해서 인위적인 저혈당 상태를 만든 다음 항암제를 투여하면 항암제의 효과가 훨씬 좋다는 연구 결과가 있고 실지로 여러 나라에서 이렇게 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두 가지 정도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혈액 내 당이 부족하면 암세포의 방어기전이 약해져서 항암제의 독성물질이 더 쉽게 암세포에 들어 갈수도 있고, 배고픈 상태에서의 종양세포는 필요하든 필요하지 않던, 독약까지도 마구 먹으려는 경향일 수도 있습니다. 하여튼 종양은 정상적인 상태의 혈당에서는 필요한 만큼 먹이를 먹지 못합니다. 자연적인 방법으로 종양을 사라지게 하는데 음식 섭취가 매우 중요합니다. 약한 혈당피크라도 발생하지 않게 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혈당지수가 낮은 음식 재료를 사용해야 하고 식사하는 방법도 개선해야 합니다.
혈당지수( (G.I. Glycemic Index)란 섭취 후 당으로 바뀌는 시간과 당으로 변화되는 양을 종합해서 산출한 수치입니다. 수치가 낮을수록 서서히 조금씩 당으로 바뀌고 당으로 변화되는 양도 적다는 의미입니다.
식사 방법은 처음에 샐러드 등의 야채를 10 분 정도 충분히 먹은 다음, 밥과 국, 반찬을 먹어야 합니다. 섭취한 음식이 소화기관에서 조금씩 꾸준히 당으로 바뀌게 도와줍니다.
혈당지수가 낮은 재료라 해도 조리 과정에서 식용유에 튀기거나 많은 양념을 하면 혈당지수가 급속히 올라갑니다. 조리방법도 중요합니다.
혈당지수가 낮은 재료를 사용하여 혈당지수를 더 낮추는 방법으로 조리를 하고, 식사 방법을 개선하면 자연적인 방법의 종양치유에 상당한 도움이 됩니다. 음식만으로도 종양을 치유할 수 있습니다.
종양이라는 존재는 오직 먹이와 성장 밖에 모릅니다. 먹이와 성장을 위해 온갖 교묘한 짓을 다 하고 어떤 환경에도 적응하는 무서운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먹이가 계속 부족하면 스스로를 죽여 버립니다.
그리고 이런 식사 방법은 인체의 면역력을 강화시키는 지름길이기도 합니다. 암세포를 조금 씩 굶기면서 면역력을 강화시키면 종양은 무서운 존재가 아님이 곧 증명됩니다.
식품별 혈당지수 표
두류 해조류 |
설탕/과자/음료 |
곡류/빵/면 |
과일 |
육류/어패류 |
|||||
채에 거른 팥소 |
80 |
백설탕 |
109 |
바게트 |
93 |
딸기쨈 |
82 |
참치통조림 |
50 |
으깬 팥소 |
78 |
맥아당 |
105 |
식빵 |
91 |
파인애플 |
65 |
베이컨 |
49 |
두부부침 |
46 |
얼음과자 |
100 |
떡 |
85 |
황도통조림 |
63 |
사라미소시지 |
48 |
팥 |
45 |
초콜릿 |
90 |
우동 |
85 |
건포도 |
57 |
생선경단 |
47 |
완두콩 |
45 |
찹쌀떡 |
88 |
백미 |
84 |
귤통조림 |
57 |
햄 |
46 |
유부 |
43 |
도넛 |
86 |
롤빵 |
83 |
바나나 |
55 |
돼지고기 |
46 |
두부 |
42 |
캐러멜 |
86 |
팥밥 |
77 |
포도 |
50 |
소시지 |
46 |
연두부 |
42 |
감자튀김 |
85 |
베이글 |
75 |
망고 |
49 |
닭고기 |
45 |
비지 |
35 |
쇼트케이크 |
82 |
콘푸레이크 |
75 |
멜론 |
41 |
오리고기 |
45 |
청국장 |
33 |
핫케이크 |
80 |
라면 |
73 |
복숭아 |
41 |
양고기 |
45 |
된장 |
33 |
미다라시당고 |
79 |
마카로니 |
71 |
감 |
37 |
굴 |
45 |
콩 |
30 |
쿠키 |
77 |
크로와상 |
70 |
버찌 |
37 |
설게 |
44 |
풋콩 |
30 |
벌꿀 |
88 |
현미+정백미 |
65 |
사과 |
36 |
바지락 |
44 |
캐슈너트 |
29 |
메이플시럽 |
73 |
현미프레이크 |
65 |
서양배 |
36 |
전복 |
44 |
아몬드 |
25 |
크래커 |
70 |
파스타 |
65 |
키위 |
35 |
장어구이 |
43 |
두유 |
23 |
카스테라 |
69 |
흰죽 |
57 |
블루베리 |
34 |
대합 |
43 |
파스타치오 |
23 |
포테이토칩 |
60 |
현미 |
56 |
서양자두 |
34 |
가리비 |
42 |
땅콩 |
20 |
푸딩 |
52 |
밀가루 |
55 |
레몬 |
34 |
모시조개 |
40 |
녹미채(톳) |
19 |
코코아 |
47 |
호밀빵 |
55 |
귤 |
33 |
참치 |
40 |
다시마 |
17 |
젤리 |
46 |
오트밀 |
55 |
배 |
32 |
전갱이 |
40 |
파래/녹조류 |
16 |
천연과즙주스 |
42 |
메밀국수 |
54 |
오렌지 |
31 |
붕장어 |
40 |
미역 |
16 |
카페오레 |
39 |
중화면 |
50 |
포도통조림 |
31 |
새우 |
40 |
김 |
15 |
과당 |
30 |
보리 |
50 |
자몽 |
31 |
오징어 |
40 |
한천 |
12 |
커피프림 |
24 |
통밀빵 |
50 |
파파야 |
30 |
낙지 |
40 |
큰실말 |
12 |
녹차 |
10 |
파스타 |
50 |
살구 |
29 |
명란 |
40 |
우뭇가사리 |
11 |
홍차 |
10 |
현미죽 |
47 |
딸기 |
27 |
바다빙어 |
40 |
말린멸치 |
40 | ||||||||
연어알 |
40 | ||||||||
고등어 |
40 | ||||||||
꽁치 |
40 | ||||||||
대구 |
40 | ||||||||
채소/근채류 |
우유/유제품 |
조미료 |
육류/어패류 |
||||||
감자 |
90 |
브로콜리 |
25 |
연유 |
82 |
후추 |
73 |
||
당근 |
80 |
쑥갓 |
25 |
아이스크림 |
65 |
카레 |
49 |
||
죽순 |
26 |
가지 |
25 |
생크림 |
39 |
고추냉이 |
44 |
||
풋고추 |
26 |
양송이 |
24 |
크림치즈 |
33 |
된장 |
33 |
||
산마 |
75 |
모로헤이야 |
24 |
드링크요구르트 |
33 |
청국장 |
33 |
||
옥수수 |
75 |
곤약 |
24 |
마가린 |
31 |
마요네즈 |
15 |
||
참마 |
65 |
여주 |
24 |
가공치즈 |
31 |
간장 |
11 |
||
호박 |
65 |
샐러리 |
24 |
탈지유 |
30 |
소금 |
10 |
||
토란 |
64 |
무슨 |
24 |
버터 |
30 |
양겨자 |
10 |
||
밤 |
60 |
실곤약 |
23 |
달걀 |
30 |
식초(곡물초) |
3 |
||
은행 |
58 |
양상추 |
23 |
저지방유 |
26 |
<혈당지수란?> 공복에 음식을 먹은 다음 30분 후의 혈당치 상승률(포도당 100으로 기준)과 식품 100g 가운데 당질 함유량으로 산출한 수치이다. 60 이하인 것이 혈당을 덜 높임으로 60이하의 수치를 먹는 것이 좋음. 수치가 60이 안되더라고 기름이나 갖은 양념이 첨가하면 칼로리가 높아지기 때문에 주의하는 것이 좋음. | |||
고구마 |
55 |
양하 |
23 |
우유 |
25 | ||||
마늘 |
49 |
물냉이 |
23 |
플레인요구르트 |
25 | ||||
우엉 |
45 |
소송채 |
23 |
||||||
연근 |
38 |
청경채 |
23 |
||||||
양파 |
30 |
오이 |
23 |
||||||
토마토 |
30 |
샐러드채 |
22 |
||||||
송이버섯 |
29 |
숙주 |
22 |
||||||
팽이버섯 |
29 |
콩나물 |
22 |
||||||
오크라 |
28 |
시금치 |
15 |
||||||
대파 |
28 |
||||||||
새송이버섯 |
28 |
||||||||
표고버섯 |
28 |
||||||||
생강 |
27 |
||||||||
양배추 |
26 |
||||||||
피망 |
26 |
||||||||
꼬투리강낭콩 |
26 |
||||||||
무 |
26 |
||||||||
부추 |
26 |
||||||||
팽이나무버섯 |
26 |
||||||||
목이버섯 |
26 |
||||||||
아스파라거스 |
25 |
'차가버섯 관련 글 > 차가버섯 저자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치료가 어려운 간암으로부터 안전하게 생환하기 실전 2 (0) | 2015.09.21 |
---|---|
[차가원] 치유 프로그램 특징 (0) | 2015.09.14 |
종양과 혈당 1 (0) | 2015.09.11 |
진실로 원하면 그렇게 됩니다. (0) | 2015.09.07 |
[스크랩] 날조 되는 「암」과「전쟁」 捏造される「がん」と「戦争」 (0) | 2015.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