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연구 결과
암 사망률 1위인 폐암은 조기에 발견해도 재발 방지를 위해 폐를 크게 절제(폐의 20~25%)했었다. 그러나 초기 폐암에 있어서는 폐를 작게 절제(폐의 5~10%)해도 생존율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강창현 교수팀은 2005년부터 2013년까지 서울대병원에서 흉강경 수술을 받은 초기 폐암 환자 중 폐엽절제술(폐의 20~25% 절제)을 받은 환자 94명과 구역절제술(폐의 5~10% 절제)을 받은 환자 94명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흉강경 폐엽절제술 환자의 3년 생존율은 96%로 흉강경 구역절제술 환자의 94%와 차이가 없었다. 폐암 수술 환자의 3년 생존율이 90%를 넘는 것은 세계적인 결과다.
- 흉강경 수술 사진/사진=서울대병원 제공
폐는 5개의 폐엽으로 구성되는데, 오른쪽 폐는 3개(우상엽, 우중엽, 우하엽), 왼쪽 폐는 2개(좌상엽, 좌하엽)로 나뉜다. 각 엽들은 해부학적으로 각각 2~6개의 구역으로 나뉜다. 암이 존재하는 폐엽 전체를 떼어내면 폐엽절제술, 폐엽 내에서 암이 존재하는 한 구역만 떼어내면 구역절제술이라 한다.
연구팀은 폐 절제 후 폐 기능이 얼마나 감소했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흉강경 폐엽절제술 환자의 폐 기능은 11% 감소한 반면, 흉강경 구역절제술은 8.9%에 그쳤다. 폐를 적게 절제할수록, 폐 기능은 최대한 보존되었다.
최근 흉강경 수술의 발전으로 흉강경 폐엽절제술이 폐암의 기본 수술법으로 정립됐다. 그러나 폐의 20~25%를 제거해야 해, 폐 기능이 안 좋은 고령이나 폐질환 환자에게 적용하기 어려웠다.
흉강경 구역절제술은 폐의 5~10%만 제거하므로 폐 기능을 최대한 살릴 수 있다. 그러나 작게 절제하면 폐암 재발률이 높아질 것이라는 우려와 높은 수술 난이도로 많이 시행되지 않았다.
강창현 교수는 “이번 연구는 초기 폐암 환자에서 흉강경 구역절제술이 기술적으로 충분히 시행할 수 있고, 흉강경 폐엽절제술과 비교해도 차이가 없으며, 우수한 폐암 완치율을 확인했다”며 “이 결과는 국내 최초의 대규모 흉강경 구역절제술 결과로, 세계적으로 매우 드문 선도적인 결과다”라고 말했다.
현재 흉강경 구역절제술은 폐암 중 비교적 예후가 양호한 최소 침습 폐선암의 환자에서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고 일부 조기 폐암환자 중 고령이거나 폐 기능이 나쁜 환자에서 제한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국제 저명 학술지인 European Journal of Cardiothoracic Surgery에 게재됐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8/25/2015082502221.html
'종류별 암 > 폐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신현종 소장이 말하는 폐암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되는 보완요법 (0) | 2015.10.18 |
---|---|
[스크랩] 폐암, 수술 못 해도 1년 이상 산다 (0) | 2015.08.27 |
[스크랩] 조기 발견 어려운 폐암, 체크리스트10 (0) | 2015.08.03 |
[스크랩] 폐 암...종류. 증상.진단 .치료. 예방까지 (0) | 2015.07.31 |
[스크랩] 폐암의 증상!... (0) | 2015.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