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교차가 커지는 환절기에는 비염, 천식, 감기 같은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쉽습니다. 따라서 폐를 비롯해 호흡기가 약해지지 않도록 신경을 써야 합니다. 호흡기 점막이 지나치게 건조해지지 않도록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며, 물을 충분히 마셔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또한 호흡기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도 환절기를 건강하게 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한의학에서 음식의 색은 인체의 장부와 짝을 이루어서 서로 긴밀한 영향을 준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 쑥이나 부추 같은 녹색의 음식은 간에 영향을 주어 간 기능을 강화시키며 해독 및 피로 해소에 도움이 되는 식입니다. 붉은 색을 띠는 딸기나 석류 같은 음식들은 심장에 도움이 되며 혈관을 강화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환절기에 중요한 폐를 비롯한 호흡기의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이 바로 양파, 마, 인삼 같은 흰색의 음식들입니다.
산에서 나는 약이라고 해서 산약으로 불리는 마는 위장에 좋은 식품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마는 위장은 물론이고 폐와 장의 기능을 강화시켜주는 효과가 뛰어나며 동의보감에는 오장의 기능을 돕고 기력을 회복시킨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피로가 심하고 허약한 사람들에게 좋은 영양식이 되기도 합니다. 무엇보다 폐와 기관지에 진액이 부족하지 않도록 해주기 때문에 호흡기 건강에 좋습니다.
더운 성질을 가진 인삼도 환절기 폐를 비롯한 호흡기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인삼에 풍부한 사포닌 성분이 약해진 기관지 기능을 강화시키며 기침과 가래를 완화시키고 각종 호흡기 질환의 예방에도 도움이 됩니다. 자양 강장 효과가 있어서 허약한 사람들이나 노인들의 기력 회복에도 좋습니다. 대신 인삼은 더운 성질 때문에 기운이 약하고 몸이 차서 혈액순환이 좋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좋지만 반대로 몸에 열이 많은 사람들의 경우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으므로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양념이나 반찬으로 많이 사용되는 마늘 역시 폐와 호흡기에 좋습니다. 특히 공해와 담배 등으로 손상된 폐와 기관지를 회복시켜주고 해독 작용으로 독소를 제거하는데 좋습니다. 마늘에 풍부한 알리신 성분은 피를 맑게 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만들어주기도 합니다. 또한 마늘은 더운 성질로 몸 속 냉기를 몰아내는 데도 효과적이기 때문에 환절기에 손발이 차서 고생하는 사람들에게도 좋습니다.
양파 역시 마늘과 마찬가지로 담배나 공기 오염 등으로 폐에 쌓이는 각종 노폐물이나 독소를 제거해서 손상된 폐를 보호하고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양파에 풍부한 퀘르세틴 성분은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면역력을 높여줍니다. 또한 양파는 거담 작용을 하기 때문에 가래를 가라앉히고 염증을 다스리는 데도 좋습니다. 양파의 좋은 성분들은 껍질에 풍부하기 때문에 양파를 먹을 때는 최대한 깨끗하게 씻어서 껍질을 적게 벗기고 먹는 것이 좋습니다.
감자도 폐 건강에 좋은 식품입니다. 감자는 폐를 윤택하게 만들어서 외부 자극으로부터의 손상을 방지하고 폐 기능을 북돋아줍니다. 또한 감자의 주성분인 녹말은 에너지원이기 때문에 체력적으로 힘이 들 때 기운을 북돋울 수 있으며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하기 때문에 영양 간식으로도 좋습니다. 특히 감자의 비타민 C는 사과나 오렌지보다 많으며, 감자의 비타민 C는 녹말에 싸여 있어서 열로 인한 손실도 줄일 수 있습니다.
도라지는 폐의 기운을 강화시켜줍니다. 동의보감에도 목구멍이 아픈 것과 가슴, 옆구리가 아픈 것을 낫게 한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폐와 기관지에 효과적입니다. 즉, 기관지의 점액 분비를 촉진하고 기침을 멎게 하며 가래를 삭여주는데 좋은 효능이 있습니다. 항염 효과가 있어서 호흡기의 염증을 가라앉혀주고, 면역력을 높여주기 때문에 환절기 각종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기르는데 좋습니다
잘 참고하시고 많이들 스크랩해 가세요!!
'암치유에 도움 > 식이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몸 안의 독을 풀어주는 해독 음식 (0) | 2014.10.07 |
---|---|
[스크랩] 벗어날 수 없다! `매운맛` 올바로 알기 (0) | 2014.10.06 |
[스크랩] 비타민과는 다르다, 요새 뜨는 ‘식물영양소’ (0) | 2014.09.26 |
[스크랩] 크론병 환자, 섬유질 섭취 무조건 나쁜 것 아냐 (0) | 2014.09.26 |
[스크랩] 암 투병 중 먹꺼리에 관하여 (0) | 2014.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