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 1인당 혈중 수은농도는 안전한 수준이며, 혈중 농도도 매년 줄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우리나라 국민 19,019명을 대상으로 수은 함량에 대해 조사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 국민의 혈중 수은농도 평균인 3.45㎍/L는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수은의 안전기준 참고값인 HBMⅠ(5.0㎍/L)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우리나라 성인의 혈중 수은농도는 2008년 평균 4.77㎍/L에서 2011년 평균 3.47㎍/L로 해마다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 사진=조선일보 DB
수은은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유일한 중금속으로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해수·토양·대기 등 우리 주변 환경 뿐만 아니라 모든 생명체에 미량으로 존재한다. 수은의 노출은 대부분이 식품 섭취에 의한 것이며, 태반 및 뇌의 장벽을 통과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수은이 체내로 흡수되면 여러 경로에 의해 대사가 이루어지며 메틸수은의 경우 평균 반감기는 약 70일 정도이다. 수은은 중추신경계에 이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일본 미나마타현에서 메틸수은에 고농도(10mg/kg)로 오염된 어류의 장기간 섭취에 의해 발생한 미나마타병(신경계장애증후군)이 있다.
특히 임산부의 경우, 몸에 들어간 수은이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참치, 고등어, 황새치 등 특히 수은이 많이 든 어류는 주 1회 이하로 섭취하는 게 좋다. 등 푸른 생선 섭취와 관련된 보다 자세한 정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http://www.mfds.go.kr)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공지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믿을 수 있는 콘텐츠 보는 방법 - `콘텐츠제공 서비스 품질인증` 마크를 찾아 보세요 (0) | 2014.06.12 |
---|---|
[스크랩] [공모] 밥 중심의 건강 식생활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0) | 2014.06.09 |
[스크랩] 현충일의 의미와 유래 (0) | 2014.06.07 |
[스크랩] 부당고용알바, 노무사에게 무료로 상담 받으세요! (0) | 2014.06.07 |
[스크랩] 개인에게 종중 농지의 교환 허용 (0) | 2014.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