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류의 장/게시판

[스크랩] `흙`의 목소리가 들려~! 토양분석 실험기!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4. 5. 13.

농업에 조금이라도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이 얼마나 중요한지 말 안해도 알 것 같아요.^^


요즘에는 텃밭분양도 조금만 부지런하면 받을 수 있잖아요. 저도 친환경동아리를 운영하게 되면서 흙에 더 관심이 생겼어요..

 

그런데 이 흙 속 성분이 문득 궁금해 질 때가 많아요.^^ 요즘 가까운 농업기술센터를 통해서 토양 분석을 손쉽게 할 수 있는데요. 하지만, 약 3주 정도 걸린다는 조금은 슬픈 현실.. 물론 많은 농민들이 신청하고 또 정밀한 기술을 요구되기 때문이지요.

 

우리 대학의 한 수업 시간을 통해서 단 하루만에 토양분석을 해보았어요.

 

1. 토양추출을 합니다. 약 15cm 지하 흙이 좋습니다.

 

2. 실험실로 출발!

실험 인증샷! 한컷!

 

 

 

 1. 물 125ml 2컵과 KCl용액 1컵 125ml 1개를 준비한다.
 2. 물, KCl 용액에 흙을 넣어 150ml으로 만든다.
 3. 물, KCl 용액이 담긴 튜브를 약 5분간 흔들어 준다.
 4. 물과 KCl을 거름종이로 여과한 후, pH를측정한다. 반드시 여과된 물,KCl으로 측정해야 한다!!!
 5. 물과 KCl의 pH의 차이로 토양의 비옥도(Ec)를 알 수 있다.

 

 

 

 

 

물과 KCl 용액의 pH의 차이를 통해서 토양의 비료기를 알 수 있어요.

차이가 0.7~1.0정도 나야만 비료기가 적절 한것이고,

너무 많이 나면 비료가 부족하고, 또 너무 적으면 시비 과잉 토양이라고 하네요.^^

 

 

 6. 물을 통해 여과된 토양 무기성분 분석(ppm)

 

 

 

 

토양 양분의 수치는 ppm 단위로 표시한다고 하네요.^^

 

질산, 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을 주로 분석하는데, 너무 많아서도 너무 적어서도 안 돼요.

 

질산은 100~200ppm(0.01~0.02%) 범위 내에, 인산은 25~100ppm(0.0025~0.01%) 범위, K(칼륨)은 156~313ppm(0.0156~0.0313%)범위, Ca(칼슘)은 1000~1200ppm(0.1~0.2%) 범위, Mg(마그네슘)은 180~240ppm(0.018~0.024%)범위가 적정 범위랍니다.^^

에구구 숫자가 너무 많아서 힘드네요 .ㅜㅠ

 

NO3(질산태 질소)를 분석해야하는 이유?
질산태질소는 흙에 너무 많으면 작물이 질소를 많이 흡수하는 데 작물의 질산태질소가 많으면 품질 및 수량이 낮아 질 수 있기 때문이에요.

 

PO4(인산)을 분석해야하는 이유?
인산은 세포핵, 분열조직, 생체막, 효소,ATP 등의 구성성분으로 어린 조직이나 종자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세포분열, 광합성, 호흡작용, 녹말과 당분의 합성분해, 질소동화 등에 작용하기 때문이에요.^^

 

K(칼륨)를 분석해야하는 이유?
칼륨은 여러 가지 물질대사의 촉매 작용을 하고 광합성, 탄수화물 및 단백질 형성, 세포 내의 수분공급, 증산에 의한 수분상실의 제어 등의 역할을 하며 효소반응의 활성제로서 중요한 작용을 하기 때문이에요.^^

 

Ca(칼슘)을 분석해야 하는 이유?
단백질의 합성, 물질 전류에 관여하기 때문이에요.

 

Mg(마그네슘)을 분석해야 하는 이유?

엽록소의 구성원소이고 광합성 인산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을 높이고 종자 내의 지유의 집적을 돕기 때문이에요.

 

RQflex기계에 대해 설명해 주시는 교수님
RQflex기계를 통해 무기성분을 분석해 보았어요^^

 

리트머스 종이

 

RQflex 기계와 실험값


* 실험 결과: 토양이 2년동안 작물을 재배하지 않아서인지 상태가 매우 좋았어요. pH도 6.8로 그렇게 높지도 낮지도 않았답니다. 역시 휴작만이 답인가?^^ 비료 3요소인 N,P,K역시 적정범위 내에 있어요. 다른 Ca, Mg 역시 적정범위 내에 있어요.


학교실험을 통해서 농업기술센터에 가면 3주 걸릴 실험을 하루 만에 간단하게 끝낼 수 있었어요. 토양의 이화학적성격을 알고 있으면, 작물 재배 시, 정확하게 진단 할 수 있고, 또 그 전에 토양에 부족한 양분을 공급할 수 있어서 참 좋아요..^^

 

흙의 소리를 듣고 문제점이 있으면 도와주려고 했는데.. 그럴 일이 없어서 다행인 것 같아요.!~!

이상 간이로 진행된 토양분석 실험이었어요!!

 

 

 


            

 

 

 농촌진흥청의 소리에 귀 기울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소중한 댓글
 함께 [스크랩]으로 가져가주세요~ ^^ '작지만 강한농업!' 농촌진흥청이 앞장섭니다!



출처 : 쵸니
글쓴이 : 쵸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