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에 조금이라도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흙이 얼마나 중요한지 말 안해도 알 것 같아요.^^
그런데 이 흙 속 성분이 문득 궁금해 질 때가 많아요.^^ 요즘 가까운 농업기술센터를 통해서 토양 분석을 손쉽게 할 수 있는데요. 하지만, 약 3주 정도 걸린다는 조금은 슬픈 현실.. 물론 많은 농민들이 신청하고 또 정밀한 기술을 요구되기 때문이지요.
우리 대학의 한 수업 시간을 통해서 단 하루만에 토양분석을 해보았어요.
1. 토양추출을 합니다. 약 15cm 지하 흙이 좋습니다.
2. 실험실로 출발! 실험 인증샷! 한컷!
물과 KCl 용액의 pH의 차이를 통해서 토양의 비료기를 알 수 있어요. 차이가 0.7~1.0정도 나야만 비료기가 적절 한것이고, 너무 많이 나면 비료가 부족하고, 또 너무 적으면 시비 과잉 토양이라고 하네요.^^
6. 물을 통해 여과된 토양 무기성분 분석(ppm)
토양 양분의 수치는 ppm 단위로 표시한다고 하네요.^^
질산, 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을 주로 분석하는데, 너무 많아서도 너무 적어서도 안 돼요.
질산은 100~200ppm(0.01~0.02%) 범위 내에, 인산은 25~100ppm(0.0025~0.01%) 범위, K(칼륨)은 156~313ppm(0.0156~0.0313%)범위, Ca(칼슘)은 1000~1200ppm(0.1~0.2%) 범위, Mg(마그네슘)은 180~240ppm(0.018~0.024%)범위가 적정 범위랍니다.^^ 에구구 숫자가 너무 많아서 힘드네요 .ㅜㅠ
NO3(질산태 질소)를 분석해야하는 이유?
PO4(인산)을 분석해야하는 이유?
K(칼륨)를 분석해야하는 이유?
Ca(칼슘)을 분석해야 하는 이유?
Mg(마그네슘)을 분석해야 하는 이유? 엽록소의 구성원소이고 광합성 인산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을 높이고 종자 내의 지유의 집적을 돕기 때문이에요.
RQflex기계에 대해 설명해 주시는 교수님
리트머스 종이
RQflex 기계와 실험값
흙의 소리를 듣고 문제점이 있으면 도와주려고 했는데.. 그럴 일이 없어서 다행인 것 같아요.!~! 이상 간이로 진행된 토양분석 실험이었어요!!
|
| ||||
|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고양 꽃박람회 제5탄 (0) | 2014.05.13 |
---|---|
[스크랩] 웹툰 _ 선거는 우리의 당연한 권리, `당당하게 청구해!` (0) | 2014.05.13 |
[스크랩] 고양꽃박람회 -제4탄 (0) | 2014.05.12 |
[스크랩] 고양 국제꽃박람회 (0) | 2014.05.12 |
[스크랩] 음식이 아니라 예술입니다_2014 한국음식관광박람회 (0) | 2014.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