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와 자녀 사이가 가장 민주적”
건설회사에 다니는 최재영(34·가명) 씨는 최근 감기몸살에 장염까지 겹쳐 병원 신세를 졌습니다. 얼마 전 있었던 회식 자리에서 술을 무리하게 마신 것이 원인이 된 것입니다. 회식 당일 최 씨는 몸 상태가 좋지 않아 상사에게 이를 호소했지만 불참하긴 어려웠습니다. 최 씨는 상사로부터 “모처럼 다같이 모이는 자리이니 웬만하면 참석해 술도 적당히 마시면서 분위기를 맞추라”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연거푸 폭탄주를 마신 그는 그날 결국 무리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최 씨는 “조직 생활이기 때문에 참여가 당연하지만 우리나라 기업문화가 권위적인 부분이 강한 것도 사실”이라며 “점차 바뀌어간다고는 하지만 아직까지 주위 동료들도 그렇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최 씨 말처럼 5명 중 4명은 직장 상사와 부하 직원의 사이가 권위주의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013년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결과’를 보면 이 같은 사회 인식이 잘 드러납니다. 조사에 응한 응답자의 79.9%가 “직장 상사와 부하 직원의 사이가 권위주의적”이라고 답했는데요. 그 중 “매우 권위주의적”이라고 답한 이도 15%였습니다. 둘의 관계가 민주적이라고 생각하는 경우는 전체 응답자의 20.1%에 불과했습니다. 기업가와 근로자의 관계도 권위주의적이라 생각하는 경우가 다수였습니다.
직장 상사와 부하 관계가 ‘가장 권위적’… “우리나라 다문화국가” 63%
응답자의 78.3%가 직장 내 기업가·근로자의 관계에 대해 권위주의적이라 답했습니다. 금융회사에 재직 중인 김지훈(36·가명) 씨는 요즘 퇴근 후에도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동네 독서실에 다닙니다. 끊임없이 자기 계발을 하지 않으면 직장 내 경쟁에서 밀릴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때문인데요. 김 씨는 “회사가 안정적으로 고용을 보장해 주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 동료·친구들 사이에서의 솔직한 생각”이라면서 “고용과 피고용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권위적인 느낌을 받기 쉬운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반면 우리 사회에서 가장 민주적인 관계는 ‘부모와 자녀 사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응답자의 65.7%가 부모와 자녀 사이가 ‘민주적’이라고 답했습니다. ‘매우 민주적’이라고 생각하는 이도 5.1%였습니다. 하지만 권위주의적이라고 답한 경우도 32.6%로 가정에 따라 개인차가 있음을 짐작하게 했습니다.
집단 간 갈등은 ‘부유층 vs 서민층’이 가장 높게 나와
대학생 이혜진 씨(20)의 가정에는 부모와 자녀 간에 갈등을 극복하는 노하우가 있다고 합니다. 의견차가 좁혀지지 않을 경우 일주일 동안 각자 생각할 시간을 갖는 것인데요. 그 시간 동안 상대방이 주장하는 이유가 뭔지에 대해 하나씩 적는 것입니다. 이 씨의 부모도 마찬가지입니다. 일주일이 지난 후 서로의 생각을 나누고 다시 의견 조율을 합니다. 이 방법은 갈등을 극복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됐다고 합니다. 이 씨는 “친구들 부모님을 보면 다짜고짜 ‘이렇게 해’라고 지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의견을 존중 받는 느낌도 들고, 스스로 생각해 볼 수 있어서 좋다”고 말했습니다.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는 집단 간 갈등 관계에 대해 응답자의 89.6%가 ‘부유층과 서민층’ 사이의 갈등이 가장 높다고 답했습니다. 이어 ‘기업가와 근로자’(85.1%) ‘진보와 보수’(83.4%) 등의 갈등이 크다는 응답이 80% 이상으로 높았습니다. ‘남성과 여성’ 사이의 갈등이 크다는 응답은 46.5%였습니다.
특히 집단 간 갈등에 대한 인식은 2006년 설문조사 결과와 달라진 점이 눈에 띄었는데요. ‘진보와 보수’는 당시보다 올해 조사가 13.2% 증가해 인식의 달라진 정도가 가장 컸습니다. 반면 2006년 81%로 높게 나타났던 ‘기성세대와 젊은세대’는 5.3% 감소했습니다.
갈등 정도가 가장 높았던 ‘부유층과 서민층’ ‘기업가와 근로자’는 각각 1% 이내의 변동을 보여 2006년과 비교해 인식의 변화가 거의 없었습니다.
“우리나라는 다문화 사회… 사회적 배려 필요하다” 우리 국민들의 대다수가 우리나라를 다문화 국가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에 따라 다문화 가정과 그 자녀에 대해 사회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의식·가치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63.7%가 “우리나라는 다문화 국가”라고 답했습니다. 다문화 국가가 아니라는 답변 중에선 “별로 그렇지 않다”가 33.8%, ‘전혀 그렇지 않다”가 2.4%로 조사됐습니다.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인식은 개선된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78.9%의 국민들이 인식이 개선된 것으로 바라봤습니다. 다문화 사회임을 인정하면서도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에 대한 차별은 크다고 바라봤는데요.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차별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국민이 72%에 달했습니다. 그 중 12%는 차별이 매우 심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다문화 가정 자녀에 대해 사회적 배려가 필요하다는 입장(86.7%)이 대다수를 이뤘습니다. 이는 한국의 다문화 가정에 대한 포용력이 높아진 것으로 풀이됩니다. |
이 글은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행하는 위클리공감에 실렸습니다.
출처 : 정책공감 - 소통하는 정부대표 블로그
글쓴이 : 정책공감 원글보기
메모 :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정책 퀴즈도 풀고 도너츠도 받으세요! - 99회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편 (0) | 2014.01.05 |
---|---|
[스크랩] 2013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⑦ 사회적 가치 (0) | 2014.01.05 |
[스크랩] 2013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⑤ 우리 문화 으뜸 (0) | 2014.01.05 |
[스크랩] 포토샵 백터마스크 활용법 (0) | 2014.01.05 |
[스크랩] 2013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④ 일자리·빈부격차 (0) | 2014.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