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류별 암/대장암

[스크랩] 대장암, 폐암 제치고 2위(남성기준)로… 고기 좋아하는 한국인 노린다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1. 7. 12.

위암 1위… 서구에서는 사라지는데 짜고 삭힌 음식 좋아하는 한국인에겐 여전히 1위
갑상선·전립선암 미스터리… 여성암 1위 갑상선암, 조기검진으로 진단 늘어
美·英 1위 전립선암, 한국인 검진 안받아 5위

한국인의 암 발생 패턴을 보면 뭘 조심해야 하고 어떻게 검진을 받아야 하는지 알 수 있다. 적을 알면 백전백승하는 원리다. 암 발생 지형도(地形圖)는 암 전쟁에서 군사작전 지도와 같은 의미를 지닌다.

①암의 70%가 '6대 암'에 집중

신규 암환자 10명 중 7명이 위암·갑상선암·대장암·폐암·간암·유방암 등 6대(大) 암에 걸린다. 이는 정기 검진만 제대로 하면, 대다수 암을 조기에 발견해 완치할 수 있다는 뜻이다. 위암·대장암은 내시경, 유방암은 유방촬영술, 갑상선암은 초음파 등으로 암을 일찍 발견할 수 있다.

또 폐암은 금연으로, 간암은 B형간염 백신으로 대부분 예방된다. 가족 중에 폐암이 있거나 장기 흡연자는 폐암 조기발견을 위해 방사선 노출량이 적은 '저선량 CT(컴퓨터 단층촬영)'가 권장된다.

②'전통암' 위암, 1위 고수

1950년대 냉장고가 보편화되면서 서구에서는 위암이 점점 종적을 감추고 있다. 소금에 절이는 음식의 섭취가 줄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여전히 위암이 위세를 떨친다. 한 해 신규 위암 환자 2만8000여명으로 전체의 15%를 차지한다.

위암은 짜고, 소금에 절이고, 간장으로 삭힌 음식을 많이 자주 먹으면 발생 위험이 커지는데, 한국인이 이런 음식을 선호하는 탓이다. 한 음식을 여럿이 공유하는 '찌개 문화' 등으로 헬리코박터균 감염률이 높은 것도 위암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40대 성인의 절반 안팎이 이 균에 감염돼 있다.

③고기 맛 본 장년층… 대장암 급증

성인 남자 10명 중 4명이 담배를 피우는 나라(흡연율 42%)에서 대장암이 폐암을 따돌리고 남성 암 발생 2위가 됐다. 그만큼 대장암 증가 속도가 가파르다. 어릴 때부터 '고기 맛'을 본 계층이 50·60대 장년층으로 넘어가고, 비만 인구가 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소화기 상부에는 한국형 위암이, 하부에는 서구형 대장암이 공존하는 형국이다. 박재갑 국립중앙의료원장은 "이들 세대가 고령화될수록 대장암 발생 추세는 더욱 드세질 것"이라며 "운동을 정기적으로 하면 대장암 발생의 40~70%는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여성에서는 유방암이 남성 대장암과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 나이 들수록 유방암 발생이 많은 서구 국가에 비해, 국내 유방암은 50세 전후에 집중해 있다. 이들은 '지방질 과다 조기 노출' 세대다.

④갑상선암은 진단 과잉?

10여년 전까지만 해도 '변방 암'이던 갑상선암은 해마다 늘더니 마침내 여성 암 발생 1위가 됐다. 전문의들은 건강검진용 갑상선 초음파 검사가 보편화되면서 암 진단도 덩달아 늘었다고 해석한다. 갑상선에 조그만 혹이라도 발견되면, 조직검사를 하고, 거기서 암세포가 나오면 수술을 받는 현상이 이어졌다는 것이다. 대한갑상선학회는 최근 '0.5㎝ 이하 혹은 아예 조직검사도 하지 말고, 더 커지는지만 지켜보라'는 진료 지침을 발표했다.

⑤서구 1위 전립선암, 의외로 적어

미국·영국 등에서는 전립선암이 남성 암 발생 부동의 1위다. 고령자에게 가장 흔한 암이기 때문이다. 반면 우리는 급속히 고령사회로 진입하는데도 전립선암은 암 발생 5위로, 의외로 낮다. 전문의들은 "착시(錯視) 현상"이라고 말한다. 대한전립선학회 이현무(성균관의대 비뇨기과 교수) 회장은 "미국에서는 50대 이상이 정기적으로 전립선암 검사를 받는 비율이 70% 이상인데 한국은 20%도 안 된다"며 "숨겨진 전립선암이 매우 많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전립선암은 간단한 피검사(PSA 수치)로 발생 여부를 추정할 수 있다. 마늘이 전립선암 예방에 효과가 있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이는 역학조사를 통해 입증된 것은 아니다.

☞암 생존율

암으로 진단받은 후 5년 이상 살아남는 환자의 비율. 5년에 대한 의학적 근거는 없으나 임상적으로 5년 이상 살게 되면 재발되는 경우가 거의 없어 국제적으로 공용된 기준이다. 아주 드물게 5년 후에도 재발해 숨지는 암환자도 있다.

 

癌환자 10명중 6명은 완치

80세까지 산다면 걸릴 확률 34%

바야흐로 '암(癌)과 함께 살아가는 시대'가 됐다. 한 해 18만명이 새로 암에 걸리고, 한국인의 평균 수명 80세까지 산다면 세 명 중 한 명(34%)은 암에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발병률 이상으로 치료율도 높아져 암 환자의 10명 중 6명은 암이 완치된다. 암이 많이 걸리고 많이 낫는 '흔한 질병'이 됐다는 의미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가 28일 발표한 '2008년 국가 암 통계'에 따르면 2008년 한 해 동안 암 진단을 받은 신규 환자는 17만8000여명이었다. 웬만한 중소 도시 인구가 매년 한꺼번에 암에 걸리는 셈이다.

암은 주로 세포의 노화 과정에서 돌연변이가 생겨 발생하기 때문에 나이가 들수록 암 발생 확률은 높아진다. 최근의 암 급증은 고령시대의 업보이자 장수사회로 진입하는 과정에 생기는 필연적 현상이다.

이른바 '서구형 암'으로 분류되는 대장암·유방암의 대거 발생도 '암 태풍'에 기여하고 있다. 두 개의 암은 각각 남녀에서 암 발생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어린 시절부터 지방질 섭취가 많은 '패스트푸드 세대'가 점차 성인이 되고 비만 인구가 증가하면서 생긴 결과다.

다행히 암 환자의 5명 중 세 명(59.5%)은 5년 이상 생존한다. 암에 걸려도 60%는 자기 원래 수명을 산다는 의미다. 의학계에서 암 치료 후 5년 이상 재발 없이 지내면 암이 완치된 것으로 판정한다. 특히 1999년 이후 매년 국가 암 통계를 작성해온 지 처음으로 2008년엔 폐암·간암 등 이른바 ‘독한 암’에 많이 걸렸던 남성의 암 생존율이 절반(50.8%)을 넘었다.

이제 ‘암=불치병’이라는 공식을 머리에서 지워야 하고, 사형 선고를 뜻하는 ‘암 선고를 받았다’는 표현도 쓰지 말아야 한다고 의료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암 조기 발견이 늘고 현대 의학이 발달하면서 최근 10년 동안 암 생존율은 매년 약 1%포인트씩 올라가고 있다. 갑상선암·전립선암처럼 원래 생존율이 높은 ‘순한 암’이 증가한 것도 한 이유다.

현재 국내에서 암 진단을 받고 살아가는 인구는 암에서 완치된 사람과 현재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를 포함해 72만400여명에 달한다. 인구 70명당 한 명꼴이다. 암 치료가 끝나고 살아가는 사람도 남은 여생 동안 ‘2차 암’ 발생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다.
하지만 이들이 암 정기 검진을 받은 비율은 ‘일반인’에 비해 높지 않다. 위암의 경우 2008년에 일반 성인의 28.4%가 검진을 받았고, ‘암 생존자’의 검진율 역시 이와 비슷한 31%에 그쳤다(삼성서울병원·서울대병원 조사). 웬만한 암 검진은 건강보험으로 커버돼 비용 부담이 크지 않은 데도 불구하고 암 생존자들이 검진받는 데 소극적이라는 얘기다.

암이 흔한 질병이 된 지금 암 치료 차원을 넘어 ‘암 생존자’ 관리도 필요해졌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보건복지부는 내년부터 재활과 영양 관리 등 암 치료 후 프로그램을 추진할 계획이다.

 

갑상선암 생존율 99%… 유방암 생존율 90%

내시경 검사로 조기 발견, 위·대장암도 생존율 높아져 통증 적은 췌장암 진단 늦어 생존율 7%대로 줄어

영화 '공포의 외인구단'의 마동탁역(役)으로 알려진 배우 김승환씨(47)는 2005년 '장(臟) 청소'를 하러 병원에 들렀다가 암 판정을 받았다. 대장암 2기였다.

당시 마흔을 넘긴 나이였지만 건강에 자신이 있어 제대로 된 건강검진 한번 안 받고 있었다. 진단 후 당장 수술대에 올랐고, 항암 치료를 받으면서 몸무게가 20kg나 빠지기도 했다. 다행히 완치 판정을 받고 요즘 연극과 드라마 등에서 활발한 활동을 재개하고 있다. 김씨는 "만나는 사람마다 대장 내시경은 꼭 받아 보라고 권한다"고 말했다.

김씨는 암이 완치된 성공 케이스지만 암도 종류마다 생존율이 제각각이다. 갑상선암(99%·남녀 전체 평균), 유방암(90%), 전립선암(86%) 등은 생존율이 90% 수준이다. 웬만한 질병처럼 치료가 된다는 얘기다.

반면 폐암·간암은 생존율이 각각 18%와 23%로 아주 낮다. 특히 췌장암은 7%대의 생존율에다 의학 발전에도 불구하고 1993년에 비해 2008년 생존율이 오히려 1~2%포인트 내려갔다. 김씨가 앓은 대장암은 생존율 70% 수준으로 중간쯤이다.

왜 이런 생존율의 차이가 벌어질까. 갑상선암·전립선암·유방암 등 생존율이 높은 암의 공통점은 ▲조기 검진이 활성화돼 있어 비교적 일찍 발견되고 ▲전이 속도가 느려 죽을 때까지 발병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게으른 암'이란 점이다. 또 내분비계열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호르몬 치료가 가능하다는 특성이 있다.

국립암센터 박은철 국가암관리사업단장은 "암이 발견되면 수술과 방사선 치료, 항암 치료의 세 가지 방법을 주로 쓰는데, 내분비계열의 암은 호르몬 치료라는 또 하나의 무기를 쓸 수 있다는 점에서 생존율이 높다"고 말했다. 중간 정도의 생존율을 보이는 위암(63%)·대장암에 대해 고대안암병원 김열홍 암센터 소장은 "둘 다 예전엔 생존율이 지금보다 13~20% 정도 낮았는데, 내시경 검사를 통해 조기 검진이 이뤄지면서 생존율이 크게 올랐다"고 말했다.

가장 생존율이 낮은 암은 췌장암·폐암·간암이다. 통증이 적어 아주 늦게 발견되며, 수술이 어려운 내장 깊숙이 위치하는 암들이다. 특히 췌장암은 ▲급속히 번지는 '포악한' 성질을 지닌 데다 ▲대동맥·하대정맥 등 큰 혈관으로 둘러싸여져 있어 수술이 힘들고 ▲일반적인 항암제 외에 달리 쓸 약도 개발이 안 된 최악의 조건을 갖춘 암이다.

출처 : 최고의 영양소
글쓴이 : 조영제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