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고 매운 음식, 뜨거운 음식, 불에 그을린 생선이나 육류의 섭취와 지나친 당질의 섭취 그리고 녹황색 채소와 비타민의 부족한 섭취와 관련있으며 병의 상태와 위의 기능장애 정도, 암의 존재 부위에 따라 영양관리를 달리합니다.
식사요법 암이 너무 많이 진행된 경우에는 환자가 원하는 음식을 자유롭게 먹도록 하나 식욕이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구미를 돋우는 산뜻한 음식을 공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종양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무자극성식을 하며 담백하고 지방이 적은 양질의 단백질(흰살생선, 계란찜, 순두부 등)을 공급하여 장내에서 가스를 만드는 음식(향신료, 향이 강한 야채 등)은 피합니다. 일반적으로 항암치료 중인 환자는 구토가 일어나 식사를 잘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식사하기 직전에 환기를 시키고 찬 음료를 마시게 하면 구토증을 조금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위 절제 수술 후의 식사 위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절제하는 수술을 받은 환자는 위의 용량이 적어져 식사 후 소화되지 않은 고농도의 음식물이 빨리 장으로 내려감으로써 *덤핑증후군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증상을 막고 수술 후 체조직의 재생을 도우며 체중감소를 줄이기 위해 개인의 적응정도에 따라 적절한 열량과 영양소가 공급되도록 식사를 계획해야 합니다.
* 덤핑증후군이란? 위절제로 인하여 위의 크기가 작아지고 위액 감소 및 기계적인 운동 저하로 인해 위로 넘어온 음식물이 미즙이 되지 못하고 덩어리째 급속히 십이지장, 공장으로 넘어가는 증상으로 구토, 경련성 복통, 설사, 열, 현기증, 혼수, 맥박수의 증가 등을 일으킵니다. 따라서 단백질의 소화나 철분 및 비타민 B12흡수에 어려움이 생기고 담즙분비가 감소되어 지방의 소화, 흡수가 어려워집니다. |
식사요법
1. |
수술 직후에는 얼음을 입에 물고 있거나 물을 조금씩 씹듯이 삼키며 적응도에 따라 점차 물의 양을 증가시킵니다. |
2. |
유동식에서 시작하여 부드러운 음식, 고형식으로 점차 진행합니다. |
3. |
단순당질(설탕, 꿀 등)보다는 복합당질(곡류, 감자류, 기타 전분성 식품)을 섭취하도록 합니다. |
4. |
열량보충을 위해 고단백, 중정도의 지방식사를 합니다. |
5. |
수분은 식사 전후 30분 사이에는 섭취하지 않으며 식사 중에도 국물 등의 수분을 많이 섭취하지 않도록 하며 식후 30~ 60분 정도 후에 섭취합니다. |
6. |
음식은 천천히 먹고 잘 씹은 후 삼키도록 합니다. |
7. |
덤핑증후군의 증상이 있을 때는 음식물이 소장으로 넘어가는 속도를 지연시키기 위해 식사 후 바로 눕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8. |
지방 소화 장애로 지속적인 설사를 할 때에는 MCT 오일을 사용하여 열량을 보충하고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를 도울 수 있습니다. |
9. |
우유는 한꺼번에 많이 마시는 것보다 소량씩 마시는 것이 도움이 되고 유당불내증이 있으면 우유나 기타 유당 함유식품을 제한합니다. |
10. |
과일이나 채소에 함유된 펙틴은 덤핑증후군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11. |
지나치게 찬 음식이나 맵고 짠 음식은 피합니다. |
위절제 식단의 예
|
간식 |
아침 |
간식 |
점심 |
간식 |
저녁 |
간식 |
내용 |
우유
두유 |
죽 시금치국 갈치구이 호박볶음 나박김치 |
잣 미음 |
죽 맑은 장국 불고기 양배추볶음 나박김치 |
채소죽 |
죽 콩나물국 적우럭구이 감자조림 나박김치 |
죽
간장 |
권하는 식품 금지하는 식품
이런 식품을 드셔야 해요 (권장식품과 주의식품)
[위장질환의 권장식품과 주의식품]
종 류 |
권장식품 |
주의식품 |
곡 류 |
쌀, 설탕이 입혀지지 않은 씨리얼, 식빵, 롤빵, 크래커, 저분류, 보리, 마카로니, 감자, 고구마, 국수 |
설탕이 입혀지거나 단맛이 있는 씨리얼, 팝콘, 감자튀김, 말린 콩, 현미, 수수, 팥 등의 잡곡 |
어육류 |
육류, 생선, 두부, 계란, 부드러운 치즈 |
조미하거나 저장한것, 훈제육류, 비엔나 햄, 소세지, 강한 향의 치즈, 핫독, 멸치, 뱅어포 |
지방류 |
버터, 마아가린, 마요네즈, 식용유 |
샐러드 드레싱, 견과류(호두, 땅콩, 잣, 아몬드) |
채소류 |
익힌 채소(당근, 호박, 시금치), 양송이, 껍질 벗긴 가지, 오이 |
섬유질이 많은 채소(도라지, 더덕, 콩나물, 우엉, 연근 등), 가스를 발생시키는 채소(양파, 브로컬리, 피망, 컬리훌라워, 양배추), 건조된 채소(건고춧잎, 무말랭이 등), 모든 생야채, 해조류(미역, 다시마, 김) |
과일류 |
과일쥬스, 과일통조림, 바나나 |
당이 첨가된 과일통조림 또는 과일 쥬스, 모든 생과일(바나나제외) 건조된 과일(대추, 건포도, 곶감) |
유제품 |
우유, 저지방우유, 탈지우유, 버터우유 |
당이 첨가된 유제품, 아이스크림 |
후식 및 기타 |
카페인이 제거된 커피 |
설탕이나 카페인이 있는 탄산음료(콜라, 사이다), 커피, 홍차, 식혜, 수정과, 초콜렛, 카스타드, 케잌, 쿠키, 파이, 샤베트, 설탕 시럽을 입힌 도넛과 롤빵 |
기 타 |
간장, 된장, 소금, 맑은스프, 인공감미료, 맑은육수 |
술, 꿀, 쨈, 설탕, 젤리, 시럽, 올립, 피클, 고춧가루, 파, 마늘, 후추, 겨자 등 |
** 주의식품이라도 개인의 적응도, 소화상태에 따라 섭취 가능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