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소암은 난소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50~70세 사이에 많이 발생한다. 2002년 우리나라 통계에 의하면 매년 약 1,000~1,200명 정도가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궁경부암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부인과 암이며 난소암의 약 90%를 차지하는 상피성 난소암은 대부분 3기 이상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5년 이상 생존율이 40%가 되지 않는 위험한 암이다.
난소암의 발병원인은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다.
먼저 암에 대한 과거 병력이다. 환자 본인이나 가족이 유방암, 자궁 내막암, 직장암 등의 병력이 있는 경우 난소암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 특히, 유방암과 난소암은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유방암이 생기면 난소암이 생길 가능성이 2배 높아지고 난소암이 있으면 유방암이 생길 가능성이 3~4배 많아진다고 알려져 있다.유방암 환자이거나, 과거 병력이 있다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배란횟수이다. 난소암은 배란 횟수가 많을수록 발병 가능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초경이 이르거나 폐경이 늦어 배란 횟수가 많았던 여성에서 발병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임신 및 출산경험으로 배란횟수가 줄었거나, 모유 수유를 오래하는 여성에게서는 난소암의 발생이 낮으며, 경구 피임약의 장기간 사용도 난소암 예방에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고지방, 고단백 식품을 섭취하는 식습관, 비만, 석면과 활석 등 환경적 유발 물질 등이 난소암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난소암은 조기에 발견해 치료할 경우 완치율이 90%로 매우 높다. 그러나 발병 당시에는 증상이 미미해 조기발견이 어렵다. 대부분의 환자는 암이 진행된 상태에서 병원을 찾기 때문에 치료하더라도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며 생존율이 비교적 낮다.
난소암은 치료 후 하루 섭취하는 과일과 채소량, 붉은 육류와 가공육 및 유제품 섭취량이 생존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식습관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고기나 우유 등의 유제품을 즐기는 난소암 환자의 경우 사망률이 높다는 통계가 있기 때문이다.
황산화 효과가 뛰어나고 항암효능이 있는 십자화과 채소는 물론 고구마 호박 등의 노란색 채소나 브로콜리, 케일, 배추, 양배추 등을 매일 꾸준히 먹는 난소암 여성의 생존율이 높다. 평소 채소 위주의 건강한 식습관을 가진 사람은 면역력이 강하고 신체적으로 건강상태가 좋아 생존율이 높을 수밖에 없다.
난소암 발병률을 줄이기 위해서는 하루에 홍차나 녹차를 한잔씩 마시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좋다. 녹차와 홍차는 건강을 증진시키는 노화방지 역할을 하며, 난소암뿐만 아니라 심장질환과 뇌활동을 촉진시켜주며 좋지 않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줄여준다.
'종류별 암 > 여성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질암의 발생부위 (0) | 2010.08.28 |
---|---|
인유두종바이러스 보유자, 자궁경부암 백신 맞아도 될까? (0) | 2010.08.27 |
[스크랩]여성 88%, 자궁경부암 예방백신 잘 몰라 (0) | 2010.08.11 |
미혼여성 산부인과 검진 피하다 병 키울 수 있어 (0) | 2010.08.10 |
20~30대 젊은층도 자궁경부암 방심할 수 없어 (0) | 2010.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