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식품,차,음료의 효능

Gotu kola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0. 2. 22.

고투 콜라는 인도,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남아프리카 및 남태평양이 자생지인 산형과(Umbelliferae, 미나리과)의 다년생 덩굴식물로서 물속이나 물가에서 잘자라는 무미, 무취의 식물이다. 원줄기는 옆으로 뻗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흰색 혹은 연보라, 분홍색의 꽃을 피우며 작은 타원형의 열매를 맺는다. 작은 부채모양의 녹색 잎과 줄기가 약용으로 사용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저지대에 자생하고 있다.고투 콜라는 종종 콜라 음료의 원료인 콜라 넛트(Cola nitida)와 혼동되나 이 둘은 전혀 무관한 식물로서 고투 콜라는 콜라 넛트에 있는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지 않다.

 

고투 콜라는 수천년간 동양에서 약용식물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상처를 낫게 하고, 정신을 맑게 하고, 나병(한센씨병)이나 건선과 같은 피부병 치료에 사용되는 등 인도, 중국,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인도경전 아유르베다에서 고투 콜라는 영적, 회춘적 효능이 큰 약초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으며, 신경 및 뇌세포 활동을 활발하게 하므로 명상을 돕기 위해 사용된다. 정수리 부위에 있는 에너지 중심인 일곱번째 크라운 샤크라를 발달시키며 뇌의 좌우반구의 균형을 유지시킨다고 한다. 스리랑카에서는 장수식품이라고 칭해지며, 중국에서는 한 학자가 이 약초를 먹고 200년 이상 살았다는 전설로 인해 “장생불사의 영약”이라고도 불리어진다.

 

고투 콜라의 잎은 정신적 활동을 고양시키는 이외에도 나병, 암, 피부병, 관절염, 치칠, 결핵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잘 낫지 않는 상처에서 나병에 이르기까지 피부질환 치료를 위해 고투 콜라가 사용되어 왔으며, 고혈압, 류머티즘, 열병, 신경질환 등 여러 질병 치료에도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면역계와 부신기능 강화, 혈액 정화, 숙면, 이뇨제로서도 사용되어왔다. 고투 콜라는 피부 및 기타 연결 조직, 림프 조직, 혈관, 점막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최근 고투 콜라는 서양에서 긴장완화와 기억력 향상을 위한 신경강장제로서 인기를 끌고 있다. 이 약용식물이 지닌 진정작용은 불면증 치료나 요가와 명상을 위해 마음을 가라앉히는데 적합하며 일반적으로 기억력 진작과 정신적, 신체적 피로 회복을 위해서도 사용되고 있다.

 

고투 콜라는 “뇌를 위한 식품”이라고 불리어져 왔다. 정신집중이나 기억력과 같은 뇌기능을 진작시키는 것과 아울러 약한 진정작용, 항 불안, 항 스트레스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효과로 인해 고투 콜라는 A.D.D. (과잉행동장애)를 지닌 어린이들에게 적합한 약용식물로서 활동이 지나친 신경계의 긴장을 늦추는 한편 집중력을 강화시켜준다. 고투 콜라의 주성분인 triterpenoids는 생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불안을 가라앉히며 정신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의 연구결과는 고투 콜라를 투여한 집단을 placebo (위약)을 투여한 집단과 비교했을 때, 처음 듣는 소음(불안도 측정indicator)을 들었을 때 덜 놀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로부터 인지능력향상을 위한 민간약으로 사용되어 온 점에 착안하여 우리나라의 한 대학에서도 제주도 병풀의 성분으로부터 치매치료 후보물질을 개발한 바 있다.

 

고투 콜라는 상처 회복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triterpenoids를 함유하고 있다. Triterpenoids는 피부를 강하게 하고 상처부위의 항 산화물 농도를 증가시키며 혈액공급을 증가시킴으로써 염증이 있는 조직을 회복시킨다. 이들 사포닌은 콜라겐 합성을 조절함으로써 큰 흉터가 남지 않도록 하며 상처회복을 촉진한다. 이러한 성질로 인해 고투 콜라는 화상, 건선, 수술 후 흉터방지, 출산 시 회음절개수술에서의 회복, 치루 치질 치료(항문부위의 열상 치료) 등에 외용약품으로 사용되어왔다. 고투 콜라 추출물이 화상이나 감염된 상처부위 (감염이 뼈까지 미치지 않는 한) 치유를 촉진시켰음을 보여주는 여러 실험 결과들이 있다.

 

혈관이 탄력성을 잃게 되면, 다리에 혈액이 쏠려서 혈관 밖으로 체액이 새어 나옴으로써 다리가 붓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정맥기능부전). 정맥기능부전 환자들에게 고투 콜라를 투여했을 때 위약을 투여한 집단에 비교해서 증상이 현저하게 개선된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초음파를 이용한 또 다른 실험결과는 고투 콜라를 투여한 환자들의 혈관이 강화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심장병과 고혈압 환자들에게 아바나 (고투 콜라를 함유한 허브차) 를 투여했을 때 위약을 투여한 집단에 비해 심장 확장기의 혈압이 현저하게 낮아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피부경화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고투 콜라가 관절통, 피부경화를 감소시키며 손가락의 움직임을 향상시켰음이 발표된 바 있다.

 

고투 콜라의 주성분은 사포닌(triterpenoids 라고도 불린다)으로서 asiaticoside, madecassoside, asiatic acid, madecassic acid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외 비타민 K, 마그네슘, 칼슘, 소디움 등을 함유하고 있다.

Asiaticoside 는 항생제로서 외상 치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극동지방에서는 나병과 결핵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Madecassoside 는 강한 항염증제이다. 또 다른 주요성분은 brahmoside와 brahminoside 한쌍의 화학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이뇨제로 쓰이며 다량 투여시 약간의 진정작용을 나타낸다.

'일반 건강상식 > 식품,차,음료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krill oil  (0) 2010.02.23
청미래덩굴Sarsaparilla  (0) 2010.02.22
[스크랩]홍경천  (0) 2010.02.22
(스크랩)파파야,papaya  (0) 2010.02.21
(스크랩)사과식초,Apple Cider  (0) 2010.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