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 일부 절제해도 등산·달리기 할 수 있어
폐암 수술로 폐를 일부 잘라내도 생활에 지장이 없을까.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전혀 문제될 게 없다. 폐암 환자 중에는 수술 후 남은 폐 기능을 향상시켜 암 발생 전보다 더 활동적인 생활을 하는 사람이 많다. 등산은 물론 축구·달리기와 같은 운동도 거뜬히 소화한다. 평소 우리가 사용하는 폐 용량은 전체의 40% 정도. 폐는 5개의 좌우 폐엽(오른쪽 3개, 왼쪽 2개)으로 구성돼 있어 이 중 하나가 없어도 정상 생활은 물론 운동을 할 수 있다.
문제는 폐엽에 달려 있는 작은 가스 교환 장치인 폐포(허파꽈리)가 얼마나 살아 있느냐는 것. 폐포는 지름 0.1∼0.2㎜의 공기주머니다. 이곳에 분포된 실핏줄에 혈액이 지나가며 공기로부터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낸다. 폐포 수는 대략 3억 개 정도. 따라서 폐의 기능은 얼마나 건강한 폐포가 살아 있느냐에 달려 있다.
흡연가정 자녀의 니코틴, 비흡연가정 4배
폐암 환자의 85∼90%는 흡연력이 있다. 폐의 일부를 잘라냈다고 호흡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 흡연으로 죽은 폐포가 많아 호흡이 불편해진 것이다. 폐암 수술 뒤 암과는 상관없는 호흡부전으로 사망하는 사람이 절반 가까이 된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담배는 암을 일으키는 주범이기도 하지만 폐암 환자를 죽음으로 몰고 가는 가장 위험한 적인 것이다.
폐암의 90% 이상은 담배연기 속의 발암물질에 의해 발생한다. 요즘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 간접 흡연이다. 2002년 폐암에 걸려 투병 중인 이태식씨는 어렸을 때 경험한 간접 흡연이 암 발생의 원인이 아닐까 하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 어렸을 때 부모님 모두 담배를 피워 단칸방에서 어쩔 수 없이 간접 흡연을 했다는 것이다.
국립암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저연령 어린이의 모발 니코틴 농도는 비흡연 가정보다 4배, 어머니는 3배가량 높았다. 특히 흡연자가 실외에서 담배를 피워도 실내에 있는 사람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비흡연 가정 모발 니코틴 농도의 2배 검출). 폐가 성숙하지 않은 성장기 어린이는 흡연자의 머리카락이나 옷에 묻은 니코틴 물질을 흡입하는 것만으로도 치명적일 수 있다.
꾸준한 유산소운동으로 강한 폐 만들어야
폐를 건강하게 하는 약이나 음식은 없다. 기관지나 폐의 건조함을 막는 수분 섭취,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권하는 것이 고작이다. 하지만 운동은 다르다. 유산소운동의 가장 큰 수혜자는 심장과 폐다. 불행하게도 폐포는 재생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남아 있는 폐포의 기능을 평생 유지하려면 운동을 해야 한다.
폐암을 극복하고 환경운동을 펴는 김재일씨의 경우 음식은 라면도 거부하지 않을 정도로 가리지 않지만 운동은 반드시 규칙적으로 한다. 평소엔 생태 조사를 위해 산에 오르고, 일정이 없으면 축구를 하거나 하루 왕복 30㎞ 거리를 자전거로 달린다. 운동은 폐 기능을 좋게도 하지만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투병 의지를 북돋우는 정신건강의 든든한 지원군이다. 운동 강도는 등이 촉촉할 정도면 무난하다. 천천히 달리기, 빠르게 걷기, 수영 등이 좋은 유산소운동이다.
폐암 10%는 증상 없어 … 매년 검진 받도록
우리나라의 폐암 성적이 좋아진 이유 중 하나가 암의 조기 발견이다. 작은 폐암도 찾아내는 저선량 CT의 등장도 도움이 됐지만 무엇보다 건강검진 확대를 통해 조기 발견 사례가 크게 늘어난 데 기인한다.
'종류별 암 > 폐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배 하루 1개비 피워도 폐암 위험 (0) | 2009.11.11 |
---|---|
[스크랩]폐암 유발 석면, ´자궁암·난소암·복막암´도 유발 (0) | 2009.11.09 |
[스크랩]몸에 좋은 '베타카로틴·루테인' 지나치면 '폐암' 유발 (0) | 2009.10.30 |
[스크랩]'이것' 때문에 당신도 폐암으로 죽는다. (0) | 2009.10.28 |
[스크랩]폐암 확인하는 검사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0) | 2009.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