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파육종
Non-hodgkin's lymphoma, Lymphosarcoma, Reticulum cell sarcoma, 임파선의 악성 종양, 호지킨 병보다 더 흔하게 나타남
원인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라 여겨진다.잘 생기는 나이는 20-40살이다.
증상
흔히 목 또는 겨드랑이에 생긴다. 처음에는 아무런 자각증상이 없이 1개의 임파절이 커진다. 경계는 분명하고 잘 움직인다. 그러다가 차츰 주위의 임파절들도 커진다. 날이 지남에 따라 주위 조직과 다른 임파절들도 서로 유착이 되어 경계도 잘 알리지 않고 가동성도 없어진다. 굳기는 일정하지 않으며 탄력성이 있다.
종양은 빨리 자라면서 임파절피막을 파괴하고 주위에 침윤성으로 자라며 나중에는 피부에까지 파급되어 궤양을 일으킨다. 이와 함께 주위 조직과 장기들에 압박증상을 일으킨다. 한편 혈행성으로 몸의 여러 곳에 전이를 일으킨다. 온몸증세로 빈혈과 쇠약이 오며 차츰 심해져서 피골이 상접하게 된다.
치료
방사선 요법과 항암제로 치료할수 있다. 치료가 되면 생명에 지장이 없고 치료 가능성은 임파선 생검에서 발견된 세포 형태에 따라 다르다.
일반요법
치료 시 낙관적이고, 치유 가능성이 있음을 환자에게 인식시킨다. 정신적인 태도를 좋게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약물요법
전문인의 지시에 따라 항암제를 사용할수 있으나 몇몇 사람에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약물 투여로 부작용이 나타난 경우에 투약을 중지하거나 인체가 약물에 적응하게 되면 부작용이 없어진다
'종류별 암 > 기타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백혈병, 사람보다 강한 것은 없어 (0) | 2009.08.12 |
---|---|
[스크랩]임파선 질환의 종류 (0) | 2009.08.09 |
[스크랩]백혈병의 궁금증 (0) | 2009.08.02 |
[스크랩]식도암 조기검진 (0) | 2009.07.31 |
[스크랩]식도암 발생요인 (0) | 2009.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