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류별 암/뇌종양

[스크랩]뇌종양의 진단방법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09. 4. 14.

뇌종양의 진단 방법으로는 전산화 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그리고 혈관 분포나 주위 혈관 관계를 보기 위하여 뇌혈관조영술을 시행합니다. 그리고 악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일광자단층촬영(SPECT),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MRS 등을 하기도 합니다. 전산화 단층촬영이나 자기공명영상은 아무런 고통 없이 3mm 이상 크기의 종양은 확실히 발견해 낼 수 있으나, CT보다는 MRI가 더 정밀하며 3차원적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뇌의 기능을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능적 MRI가 개발되어 운동, 언어, 감각, 시각중추를 직접 볼 수 있어 수술 시 안정도를 더 높여주고 있습니다. PET는 종양의 대사능을 측정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검사로서 MRI로도 발견 안되는 종양을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뇌종양은 양성이라고 해도 발견이 늦어지면 주위 정상 뇌조직을 파괴 또는 침투해서 수술이나 방사선으로 완전 제거가 불가능하게 됩니다. 따라서 종양이 작을 때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뇌종양은 어떻게 진단되는가?

 

뇌종양의 가장 정확한 진단은 수술을 통해 조직 검사를 하는 것입니다. 환자 증상에서 일단 종양이 의심되면, 신경학적 검사와 CT. MRI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더 정밀한 검사가 필요할 때는 뇌파검사 및 방사선 동위원소검사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1. 전산화 단층촬영(CT)

CT는 뇌의 단층촬영을 컴퓨터 기술을 이용해 영상화한 것으로 뇌종양 진단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온 검사법입니다. 과거에는 혈관 조영술을 통한 혈관 위치의 변위로 간접적인 진단만이 가능했으나 CT의 도입 이후 뇌종양의 직접적인 진단이 가능해져서 ‘심봉사가 눈을 뜬 것’에 비유되곤 합니다. CT촬영 전에 주입되는 조영제는 영상의 대비를 극대화시켜서 종양을 더욱 선명하게 나타냅니다.

 

2. 자기 공명 영상(MRI)

MRI는 종양을 찾아내는데 CT보다 더욱 정확하고 민감한 검사입니다. 특히 뇌신경을 사진 찍어놓은 것과 같이 3차원 영상으로 정밀하게 볼 수 있어 최근에는 MRI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진단법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두개골병변, 혈종, 석회화 등은 CT가 MRI보다 민감합니다.

 

3. 양전자방출 단층촬영(PET)

양전자방출 단층촬영은 재발성 뇌종양을 찾는데 매우 민감도가 높은 진단 검사입니다. PET는 종양세포의 대사적 활성도를 영상으로 보여주어 종양의 악성도를 예측할 수 있게 합니다. 당 물질이 환자 정맥으로 주입된 후 영상화되는 데는 1~4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뇌세포에 당물질의 흡입양상을 관찰함으로써 종양세포가 재발한 것인지, 재발종양과 이전의 방사선 치료와 항암 화학요법 후에 형성된 죽은 조직(괴사)을 구별하는 것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