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A형 간염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급성 A형 간염 환자의 약 6%가 콩팥이 제 기능을 못하는 `급성신부전'을 함께 앓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30대 성인 A형 간염 환자의 급성신부전 발병률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톨릭대 강남성모병원 양철우 교수와 중앙대병원 신장내과 김수현 교수팀은 2001년부터 2006년까지 강남성모병원에 급성 A형 간염으로 입원한 20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급성 신부전 동반율을 조사한 결과, 전체의 5.7%(12명)가 급성신부전으로 진단됐다고 17일 밝혔다. A형 간염환자는 2001년에 7명에 불과했지만 2006년에는 92명으로 급격히 늘었다. 급성 신부전이 생긴 12명의 급성 A형 간염 환자 중 10명이 30대였으며, 이중 8명(66%)은 혈액투석 치료가 필요했을 정도로 상태가 심각했다. 하지만 이 기간에 사망 환자는 없었으며 치료 후 모두 신장 기능을 회복했다. A형 간염은 오염된 식수나 어패류, 상한 우유 등의 음식을 먹었을 때 주로 발생한다. 이 간염바이러스는 주로 몸 속 장기 중에서도 간장을 침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바이러스가 전신적인 증세를 일으킬 수도 있으며 A형 간염 바이러스의 독성물질이 신장을 침범할 때는 급성신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게 양철우 교수의 설명이다. 또한 성인 A형 간염 환자는 주 증상인 황달이 발생했을 때 발현되는 `빌리루빈'이라는 물질이 신장에 나쁜 영향을 주거나 수분부족과 탈수증상으로 신장에 무리를 주기도 한다고 양 교수는 덧붙였다. 특히 급성 A형 간염이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는 것과 달리 A형 간염에 동반된 급성 신부전은 계절과 관계없이 발생하는 것도 특징으로 분석됐다. 의료진은 A형 간염환자 가운데 △30대 이상인 사람 △당뇨병 환자 △알코올 섭취가 많은 사람 △간 수치가 높은 환자 등이 급성신부전 발생위험이 높다고 평가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과학논문색인(SCI) 등재 국제저널(nephron-clinical practice)에 게재될 예정이다. 양철우 교수는 "일반적으로 급성 A형 간염이 주로 소아에게 발병하고 증세도 미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증가하고 있는 20~30대 급성 A형 간염 환자의 경우 급성 신부전을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면서 "평소에 과음하거나 당뇨병이 있는 성인은 A형 간염 예방주사를 맞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출처 경북일보 |
'종류별 암 > 신,방광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적절한 투석이란,, (0) | 2009.04.16 |
---|---|
[스크랩]혈액투석이란? (0) | 2009.04.15 |
만성 신장병 - 본인은 대부분 몰라 (0) | 2009.04.12 |
[스크랩] 거품 많은 소변, `콩팥이 수상해!` (0) | 2009.04.11 |
[스크랩]신장질환-복막투석이란? (0) | 2009.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