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고혈압, 중풍

[스크랩]조조고혈압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09. 4. 1.

- 조조상승형·야간지속형 구분… 심혈관질환 발전가능성 더 높아
- 수시체크해야 증상발견·치료 가능… 유형따라 약물복용도 달리 해야

혈압에도 시간차가 있어 하루 중에도 변화를 보인다. 대개 취침 중 특히 새벽 2시 무렵에 가장 낮고 아침에는 다소 높아진다. 낮에는 주로 평형을 유지하다 오후 9시 이후 차츰 떨어지는 패턴을 보이는 것이다. 혈압은 아침에 잠에서 깼을 때 일반적으로 증가하며 이를 아침고조(morning surge)라고 한다. 이 같은 아침고조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것이 조조 고혈압이다. 통상 기상 후 첫 2시간 동안 기록한 수축기 혈압 평균과, 취침 중 가장 낮은 수축기 혈압의 전후 1시간 평균의 차이가 50㎜Hg 이상일 경우다.

조조 고혈압은 또 아침에만 혈압이 높은 조조 상승형과 새벽과 아침 모두 높은 야간 지속형으로 나뉜다. 조조 상승형은 아침에만 높은 형태고 야간 지속형은 잠을 자는 내내 혈압이 높은데다 아침까지 이어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상 속에서 혈압을 자주 재지도 않을 뿐더러 하루 중 변화를 스스로 체크하기란 더더욱 어렵다. 이 때문에 조조 고혈압은 좀처럼 발견하기 쉽지 않다. 하지만 자신이 고혈압이라면 병원이 아니더라도 가정혈압계 등으로 수시로 하루의 변화를 체크해보는 게 좋다. 조조 고혈압이 일반 고혈압에 비해 더 위험한 것은 심혈관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훨씬 높기 때문이다. 특히 야간 지속형 고혈압이 더 위험하다. 조조 상승형은 하루 중 혈압이 높은 시간이 그다지 길지 않지만 야간 지속형은 하루의 1/3 이상이나 높은 혈압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야간 지속형 고혈압은 심근경색 등 급사의 위험이 조조 상승형보다 더 크다. 이에 비해 조조 상승형은 뇌졸중의 가능성이 더 높다.

이처럼 같은 고혈압이라도 시간에 따라 증상이 변화하기 때문에 자신의 혈압 패턴을 알고 약물도 이에 맞는 맞춤 처방이 필요하다. 아침 시간에 특히 혈압이 올라가는 조조 상승형이라면 아침에 혈압을 떨어뜨리는 약이 필요하다. 반면 야간 지속형은 이런 주기가 아니라 저녁에 복용해 아침까지 효과가 지속되는 약을 복용해야 한다. 최근에는 이처럼 약효가 나타나는 시간과 지속 시간 등이 각기 다른 여러가지 고혈압 약이 나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