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류별 암/신,방광암

[스크랩]신장암의 병기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09. 3. 28.

신세포암의 병기는 주로 TNM 병기와 Robson 병기의 두가지 병기분류체계가 이용됩니다.


TNM 병기체계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TNM 병기체계에 의한 분류]

  국소병기(T)

T1 : 7cm 이하 신실질내 종양

      T1a : 4cm 미만

      T1b : 4∼7cm

T2 : 7cm 이상 신실질내 종양

T3 : 신주위근막(Gerota근막)을 넘지 않은 신외 종양

      T3a : 동측 부신, 신외 지방조직 침범 

      T3b : 신정맥, 횡격막 하부 대정맥 침범

      T3c : 횡격막 상부 대정맥 침범

T4 : 신주위근막(Gerota근막)을 넘어 침범한 종양

  림프절병기(N)

N0 : 림프절 전이 없음

N1 : 국소 림프절 한개 전이

N2 : 국소 림프절 두개 이상 전이

  원격전이(M)

M0 : 원격전이 없음

M1 : 원격전이 있음

  TNM 조합에 의한 병기구분

     - 제 1기(T1N0M0) : 신장내에 국한되어 있는 직경 7cm 이하의 종양

     - 제 2기(T2N0M0) : 신장내에 국한되어 있는 직경 7cm 이상의 종양

     - 제 3기(T3N0M0, T1-3N1M0) : 신피막 밖의 신외 지방조직이나 부신을 침범하였으나

       신주위근막(Gerota근막)은 넘지 않은 경우, 신정맥이나 하대정맥을 침범한 경우, 또는

       하나의 신장 주위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 제 4기(T4, N2, M1) : 신주위근막(Gerota근막)을 넘어 장이나 췌장 등의 주위 장기를

       침범한 경우, 2개 이상의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나 다른 장기로의 전이가 있는 경우


Robson 병기체계

병리학적 소견을 토대로 한 Robson 병기체계는 과거에 많이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습니다.

 

[Robson 병기체계에 의한 분류]

제 I 기

  신실질내에 국한된 종양(T1-2N0M0)

제 II 기

  신피막 외로 침윤이 있으나 신주위근막(Gerota근막) 내에 국한된 종양

  (T3aN0M0)

제 III 기

IIIa

IIIb

  신장 주위 혈관이나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신정맥이나 하대정맥신장 주위 혈관을 침범한 경우

  신장 주위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제 IV 기

  신장 주위의 다른 장기를 침범하였거나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T4, M1)

출처;신장암환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