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암정보
종양의 진단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08. 10. 10.
종양 특히 암의 진단에는 형태학적 진단(morphologic diagnosis), 생화학적 진단(biochemical diagnosis), 그리고 최근에 발전한 분자 생물학적 진단(molecular biologic diagnosis)등이 있다.
이들 중 형태학적 진단법이 가장 기본적인 암의 진단법이다. 형태학적 진단은 조직학적 검사와 세포학적 검사로 이루어진다.
|


뚜렷한 양성과 뚜렷한 악성 종양을 조직학적으로 구분하는 데는 별로 어려움이 없다. 그러나 그 중간에 위치한 어떠한 종양은 명백하게 양성과 악성으로 구분하는 것이 대단히 곤란할 수 있다. 조직 검사물의 채취 방법이 종양의 진단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1) 절제 표본(excision)은 전 병소를 완전히 외과적으로 제거한 표본으로 충분한 양의 조직 표본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2) 생검(biopsy) 또는 부분 절취 표본(incision)은 우선 검사할 조직의 양이 작아서, 병변을 완전히 반영할 만큼 충분한 조직을 채취하였는가를 항상 고려해야한다.
(3) 침 생검(needle biopsy)은 내장 또는 심부 조직의 병변이 크거나 광범위할 때에 주사 침으로 종양 조직을 얻어 진단하는 방법이다.

조직을 절취한 직후에 동결 절편(frozen section)을 만들어 신속하게 조직학적 진단을 얻고, 마취하에 있는 환자에게 결정적인 치료를 속행할 수 있는 동결 절편 진단법이 있다.
그러나 동결 절편 진단은 오진의 요인이 많기 때문에 항상 경험이 풍부하고, 유능한 병리 의사에 의하여 실시되어야 한다.
 특수한 검사법으로 호르몬과 각종 수용체 분석(receptor analysis) 그리고 면역 현광 현미경 검사(immunofluorescence)등도 동결 절편에 실시되고 있다.
절취한 조직편을 특수한 고정액(예, glutaraldehyde)에 고정하여 전자 현미경적 검사(electron microscopy)를 실시한다.
면역 세포 화학적 검사(immunocytochemistry)는 동결 절편이나 파라핀 포매 조직에서 다 같이 실시되는데, 특이한 단 클론성 항체(monoclonal antibody)을 조직 표본에 작용시켜 세포의 생성물이나 세포 표면 표식자(surface marker)를 동정하는 검사법이다.
| |


세포학적 검사물의 채취 방법에 따라 탈락 세포학적 검사(exfoliative cytology)와 흡인 세포학적 검사(aspiration cytology)로 구분된다.
(1) 흡인 세포학적 검사는 최근 임상에서 자주 이용하는 암의 형태학적 검사법이다. 이 검사법은 매우 간편하게 암을 진단할 수 있는 유익한 검사법이다.
가는 주사 바늘로 종양 조직을 천자하여 얻은 흡인물을 도말하고, 검경하여 세포학적 진단을 얻는 방법이다. 이 검사법은 특히 조직학적 검사를 위한 침 생검과 다음에 기술한 탈락 세포학적 검사법의 중간적인 검사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이 방법을 세침 흡인 생검 세포학적 검사(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cytology, ABC, FNA)라고 부른다. 표재성 장기(유방, 갑상선, 타액선, 림프절)나 심부에 위치한 장기(폐, 간, 췌 등)의 종양 진단에 이용된다.
(2) 탈락 세포학적 검사는 흔히 Papanicolaou 검사라고도 한다. 자연적으로 탈락한 암세포를 도말(smear)하여 암을 진단하는 검사법이다. 이 검사법은 자궁암과 폐암의 발견과 진단에 일상 이용되고 있다.
|
|


생화학적 검사에 의하여 종양 표식자(tumor maker)를 검출 할 수 있다. 종양 표식자로 세포 표면 항원, 세포질 단백, 효소, 그리고 호르몬 등이 있다.
종양 표식자의 검출은 암의 일차적인 진단 목적으로 이용되어서는 안된다. 이 검사는 임상 진단을 확인하는 임상 검사로 이용되고, 치료에 대한 반응 또는 질병의 경과를 추적하는데 유익한 검사법이다.
암종 배아성 항원(carcinoembryonic antigen) 은 대장암, 췌장암, 위암, 및 유방암 등에서 증가한다. α-태아 단백(α-fetoprotein)은 간세포 암종과 성선(난소와 고환)의 종세포 종양(germ cell tumor)에서 증가한다.
전립선 acid phosphatase는 전립선 암종 때에 혈청 내에 상승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암이 상당히 진행된 후에야 비로소 이 효소치가 혈청 내에 증가하게 된다.
| |

여기에는 DNA probe 분석법이 최근에 발전하여 암진단에 이용되고 있다. 클론의 재배합으로 악성 림프종(malignant lymphoma)의 T-세포 또는 B-세포기원을 알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종양 유전자(N-myc, C-neu 등)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는 in situ hybridization 기법이 개발되었다.
또한, DNA flow cytometry 에 의하여 종양 세포의 DNA 함량과 생활환(life cycle)의 특징을 규명하여 환자의 예후를 짐작할 수 있게 되었다.
DNA의 이(異) 배수체(aneuploidy)는 일반적으로 불량한 예후를 나타낸다. DNA 배수체 측정은 현재 일반적인 검사로 실시되지는 못하고 있지만, 가까운 장래에 암의 진료에 기본 검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
|
자료제공 : 의학박사 이 중 달 / "기본 병리학" / 도서출반 고려의학 |
출처;암사랑참여연대http://www.cancerlove.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