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일반 건강상식

부항 요법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08. 8. 29.

부항 요법

부항 요법을 흡통 요법 또는 울혈 요법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본래 민간 요법의 하나인데 근래에 와서 의사들이 보조치료법으로 쓰고 있다.

1. 부항의 종류

가) 침대 부항 : 직경이 1치 혹은 2치 되는 침대를 톱으로 끊어서 한쪽 면을 밑바닥으로 하여 높이는 약 3~4치 되게 하고 옆 가장자리는 깎아서 양쪽이 약간 가늘게 하고 통의 주등이는 매끄러우며 침대의 대소에 따라 대, 중, 소의 여러 종류를 만들어 사용한다.

나) 도자기 부항 : 질적 재료는 침대 부항과 다르나 사용함에 있어서는 같다. 도자기 부항도 대, 중, 소가 있다.

다) 유리 부항 : 아가리는 작으면서 외측으로 번져진 것이 특징이고 크기가 같지 않다 사용함에 있어서 유리는 투명하므로 피부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으므로 현재 많이 사용하고 일다.


2. 부항 붙이는 방법

부항 붙이는 방법은 보통 두 가지가 있다.

가) 투화법 : 솜에 95% 알콜을 약간 묻혀서 불을 붇이고 부항통에 넣고 곧 해당하는 부위에 붙인다.

나) 섬화법 : 오른손에 부항통을 쥐고 왼손에는 솜에다 알콜을 약간 적신 것을 핀셋으로 쥐고 이를 부항통 속에 넣어 불 붙게 하고 불이 붙은 다음 그 속 내면을 2~3회 휘두르고 솜을 꺼내면서 부항통을 곧 해당하는 부위에 붙인다.

 


3. 부항 붙이는 순서

가) 준비 작업

실시하기 전에 먼저 부항통과 핀셋, 솜, 알콜, 성냥, 바셀린 등 사용할 도구들을 준비한 다음 부항 붙일 부위가 적당한가를 살펴봐야 한다.

나) 실시 순서

1) 먼저 부항통의 대소가 부항 붙일 부위에 적당한가를 비교하여 보아야 한다.
2) 부항통 주등이와 부항 붙일 부위에 바셀린을 발라 빨아들이는 힘이 강하더라도 피부가 상하지 않게 하여야 한다.
3) 부항을 붙여 두는 시간은 보통 10~15분간으로 하는데 환자가 심한 동통을 호소하면 시간 전에 떼야 한다.
4) 부항통을 뗄 때에 오른손은 부항통을 쥐고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부항통이 붙어 있는 근육을 가볍게 눌러 공기가 부항통 안에 들어가게 하면 된다.
5) 부항을 붙인 후에 만약 피부가 손상을 입었다면 외과적 처치를 하여야 한다.


4. 부항 요법의 적응증과 금기증

가) 적응증

1) 외감풍한으로 오는 두통, 현훈, 눈이 갑자기 붓고 아플 때에는 태양혈에 부항을 붙일 수 있다.
2) 기침과 오랜 담천 등의 증상에는 등에 부항을 붙일 수 있다.
3) 복통, 장염, 설사 등의 증상에는 복부에 부항을 붙일 수 있다.
4) 견갑, 요배, 근골산통 등의 증상에는 견갑 요배부에 부항을 붙일 수 있다. 상하지에 근육이 많은 곳에 풍습통이 있으면 부항을 붙일 수 있다.

나) 금기증

1) 심하게 전신이 수척하였거나 국소에피부병이 있을 때.
2) 갑자기 인사불성이 되거나 혹은 사지가 경직될 때.
3) 정맥류, 심장부와 유두, 종양, 나력 등 부위.
4) 심한 수종 또는 임신 기간은 하복부에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일반 건강상식 > 일반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다낭성난포증후군에 대하여  (0) 2008.08.30
부항/뜸  (0) 2008.08.29
뜸 치료의 적응증과 금기증  (0) 2008.08.29
뜸뜰 때 주의할 점  (0) 2008.08.29
뜸 요법의 작용  (0) 2008.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