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알아두면 좋은 암상식

정기검진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08. 8. 21.

  정기검진 
암의 조기발견을 위해서는 정기검진이 필요하다.

 미국 암 협회 권유사항

미국 암협회에서는 암과 관련된 검진을 일반적으로 20 ~ 40세 사람들은 3년마다, 40세 이상의 사람들은 매년 받을 것을 권유하고 있다. 이 검진에 포함되는 항목은 건강상담과 개인별로 갑상선, 후두, 피부, 림프결절, 고환, 난소 등의 암에 대한 검진 및 필요에 따라 다른 질환의 검사 등이 있다.

 임체 기관별 암검진

인체의 각 기관별 암검진을 위한 검사는 다음과 같다.

 

신체부위

검 사

유방

20세 이상의 여성의 경우 매달 유방 자가검진을 한다.
20 ~ 40세 여성은 3년마다 의사에 의한 유방검진을 해야 하고 40세 이상에서는 매년 하도록 한다(이 검사는 유방조영술 스케줄에 맞추어 시행한다).

대장 및
직장

<50세부터 다음의 검사계획을 따라야 한다.>
매년 대변 잠혈 검사와 직장경검사를, 매 5년마다 직장수지검사를 받아야 한다.
또는 대장경 검사 및 직장수지검사를 매 10년마다 받는다.
대장암의 위험요인을 가진 사람은 더 자주 검진을 받아야 한다.

<주요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대장암 이나 선종성 용종의 과거력이 있을 경우
대장암이나 용종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암 1기인 60세 이하의 친척이 하나 또는 연령에 상관없이 암 1기인 친척이 2명 있는 경우)
만성 염증성 위장질환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유전성 대장암 증후군의 가족

자궁경부

성관계를 하고 있는 여성이거나 18세이상 여성인 경우 매년 자궁세포진검사 및 자궁경부검사를 실시하고 3번이상 정상인 경우 의사의 재량에 따라 빈도를 줄여도 좋다.

자궁내막

자궁내막의 암 위험요인이 있는 여성은 폐경기가 시작되면 자궁내막조직검사를 받아야 한다.

전립선

50세 이상으로 잔여수명이 10년 이상인 사람은 전립선 특이 항원 및 직장수지검사를 매년 받아야 하나 이는 위험도를 가지고 있는 젊은 사람에게도 해당된다.
정기검진을 원하는 남자는 50세부터 검사를 시작하나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는 사람, 가령 가족력(즉 직계가족의 2인 이상이 전립선암을 앓은 경우)이 있는 경우, 조기 검진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전립선 암에 대한 정확한 검사 시작시기를 정하기 위해 아직 보다 많은 정보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