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건강상식/일반 건강상식
스크랩 ‘노안’ 온 사람이 스마트폰 ‘다크모드’ 설정하면 벌어지는 일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5. 2. 25. 08:41
눈 건강을 지키기 위해 ‘다크모드’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다. 다크모드는 흰색 배경에 검은색 글씨로 돼 있는 일반적인 화면과 달리, 검정 화면에 흰 글씨로 구성된 설정을 뜻한다. 정말로 눈 건강에 좋은 걸까? 다크모드는 일시적으로 눈의 피로감을 덜어줄 수 있다.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줄이기 때문이다. 미국 안과학회도 밤에 잠들기 전에는 다크모드를 사용하는 걸 권장한다. 학회 회원이자 안과 전문의인 라즈 K. 마투리 박사는 기고문을 통해 “스마트폰의 블루라이트에 노출되면 수면을 방해받을 수 있다”며 “잠자리에 들기 한두 시간 전에 스마트폰 다크모드를 설정하면 블루라이트를 피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다크모드가 눈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과학적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 오히려 노안이 있는 사람이 다크모드를 사용하면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사람의 눈은 어두울 때 동공의 크기를 확장하면서 초점을 맞추려 한다. 그런데 노안이 있다면 이미 근거리 초점을 맞추기 어려운 상태다. 다크모드 설정을 하고 어두운 화면으로 근거리를 주시한다면 안구 주변의 근육이 긴장 상태를 유지하느라 눈의 피로감이 심해질 수 있다. 아울러 백내장 환자는 어두운 환경에서 작업하면 안압 상승, 녹내장 등을 겪을 수 있으므로 다크모드 설정을 피하는 게 좋다. 다크모드가 안구건조증을 예방한다는 근거도 없다. 안구건조증은 스마트폰 등을 응시하면서 눈 깜빡임 횟수가 줄어들어 생기는 것이지 빛의 양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건 아니다. 근시 역시 마찬가지다. 근시는 근거리 작업량이 많아지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빛의 양과는 연관성이 적은 것으로 보고된다. 가장 이상적인 화면 밝기는 주변과 유사한 상태다. 즉, 모니터나 스마트폰을 봐야 한다면 주변도 밝은 상태로 유지하고, 어두운 곳에서는 최대한 보지 않는 게 좋다. 취침 전, 불을 끄고 스마트폰을 꼭 사용해야 겠다면 밝기를 최대한 줄이고 20분 내외로만 사용할 것을 권한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5/02/20/2025022002982.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